여기다 산업수도 울산에 걸맞는 정책연구 경력의 인재는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각계 여성인재 발굴과 영입에도 여전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장애인 등의 약자에 대한 배려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이상헌 중심 수직체제 선대위= 민주당 울산선대위를 뜯어보면 지역 유일 현역 이상헌(북) 시당위원장이 상임선대위원장 체제로 수직체제로 구성했다. 박향로 중구지역위원장 외 20여명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꾸려 6개 국회의원 지역구별로 책임 득표제가 특징이다. 여기엔 당소속 현직 시구군의원 등이 대거 참여함으로 사실상 선출직 공직자 중심의 득표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이에따라 이상헌 상임위원장 수직체제 선대위는 선대위를 장악하는 힘의 중심부엔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지역 행정계와 지방의회까지 장악한 지역 민주당이 이번 대선에서 필승만이 내년 6·1 지방선거에서도 연장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그 이면엔 시당위원장인 이상헌 상임선대위원장이 사실상 내년 지방선거 후보공천권에도 일정부분 행사할 수 있는 정치적 파워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있다.
시당 선대위 선출직의 한 관계자는 “사실상 내년 지선은 대선결과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라는 것은 기본아니겠느냐”면서 “이상헌 선대위원장에게 ‘찍히면’ 문제 될 수 있다는 현실 정치도 없지않다”고 했다.
◇‘김기현 좌장체제’의 수평적 선대위= 국민의힘 울산 선대위의 실질적인 좌장은 원내대표 겸 중앙당 공동선대위원장인 김기현 의원을 총괄선대위원장 체제로 구축된 것이 특징이다. 시당위원장인 권명호(동) 의원은 공동선대위원장 겸 총괄본부장을 맡았다. 여기다 권 시당위원장과 함께 공동선대위원장에 이채익(납갑), 박성민(중), 서범수(울주) 등 지역 국회의원과 북구당협위원장인 박대동 전 의원과 김두겸 전 남구청장, 박맹우 전 사무총장, 정갑윤 전 국회부의장 등 차기 울산시장 후보군이 참여했다. 때문에 김 원내대표를 제외하곤 원내외를 막론하고 수평적체제에 빙점이 찍혀 있다. 하지만, 원내대표겸 중앙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인 김 원내대표는 사실상 상징적인 원톱체제라고 할 수 있으나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과의 대척점에서 전국적인 대선 사령탑과도 진배없다. 원외인사인 김종인 총괄 선대위원장체제 현실에서 원내전략의 핵심부이자 각종 정보를 취합, 분석력의 중심부인 김 원내대표가 울산선대위를 실질적으로 컨트롤 하기엔 ‘파워 에너지’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없지 않다. 특히 차기 시장 예비주자들을 수평적으로 배치시킨 이면엔 상대적 특혜없는 ‘페어플레이’에 방점이 찍힌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득표력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게 될지는 미지수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