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일보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의 1차 공동 여론조사에서 3월9일 실시되는 20대 대선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호남과 40대 연령층, 진보성 향에서, 국민의힘은 영남과 강원·제주, 60대 이상, 보수성향에서 지지층이 갈렸다.
부울경 지역에서는 대선후보 당선 가능성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46.4%)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43.6%)가 불과 2.8%p로 초접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부울경 지역에서는 85.9%가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64.9%는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계속해 지지할 것이라고 했다. 국정조사, 투표의향, 당선 가능성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민주 41.3%-국힘 38.7%-정의 4.5%-국민 3.2%
◇정당 지지도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3%, 국민의힘 38.7%, 정의당 4.5%, 국민의당 3.2%, 열린민주당 1.3%, 기타정당 0.7%, 지지정당 없음 9.9%, 잘모름 0.4%다.
부울경 지역의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49.0%로, 더불어민주당(31.2%)보다 17.8% 높게 나타났다. 성별·연령별·권역별로 분석해 보니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고 광주·전남·전북(62.7%), 40대(58.2%), 진보성향(78.2%)에서 높았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대구·경북(51.1%), 부울경(49.0%), 강원·제주(52.0%), 60대 이상(50.8%), 보수성향(77.9%)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치 성향을 보면 중도가 37.5%로 가장 높았고, 보수(27.9%)와 진보(27.1%)는 비슷했다. 부울경 지역은 중도성향(35.4%), 보수성향(32.5%), 진보성향(21.4%), 잘 모름(10.7%) 순으로 중도성향과 보수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진보성향이라는 응답은 광주·전남·전북(42.9%), 여성(29.3%), 40대(35.7%), 더불어민주당 지지층(51.3%)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중도성향이라는 응답은 대전·충청·세종(40.9%), 남성(40.0%), 30대(45.2%)에서 높았다. 보수성향은 대구·경북(36.8%), 강원·제주(37.4%), 남성(30.2%), 60대 이상(37.4%), 국민의힘 지지층(56.3%)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서울선 이재명 39.0%-윤석열 40.1%로 초박빙
◇권역 및 연령별 대선후보 지지도
전국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44.1%)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35.6%)에 비해 8.5%p 높게 나타났지만, 부울경 지역은 국민의힘 후보의 지지도가 여당 후보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울경 대선후보 지지도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39.7%,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34.3%,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11.0%, 정의당 심상정 후보 1.2% 순으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보다 5.4%p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는 윤석열 후보(40.1%)와 이재명 후보(39.0%)간 1.1%p 차이로 초박빙 양상을 보였다. 인천·경기에서는 이재명 후보(50.4%)가 윤석열 후보(31.5%)보다 18.9%p 앞섰으며, 대전·충청·세종에서도 이재명 후보(43.8%)가 윤석열 후보(31.9%)보다 11.9%p 우세했다. 광주·전남·전북에서 이재명 후보(66.6%)가 윤석열 후보보다 48.2%p 차이로 압도적 우세를 보였다.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윤석열 후보(51.3%)가 이재명 후보(32.7%)보다 18.6%p, 강원·제주에서도 윤석열 후보(43.8%)가 이재명 후보(29.9%)보다 13.9%p 각각 앞섰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이재명 후보는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윤석열 후보보다 높은 지지도를 보였다. 20대는 이재명 후보 40.3%, 윤석열 후보 18.2%, 30대 이재명 후보 42.8%, 윤석열 후보 30.4%, 40대 이재명 후보 56.6%, 윤석열 후보 26.9%, 50대 이재명 후보 49.2%, 윤석열 후보 38.5%다. 60대 이상은 윤석열 후보(51.8%)가 이재명 후보( 35.7%)보다 16.1%p 높아 다른 연령층과 차이를 보였다.

이재명 53.7%, 윤석열 37.5%에 16.2%p 앞서
◇대선후보 당선 가능성
대선후보 당선 가능성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53.7%)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37.5%)와 16.2%p 격차를 보였다. 이들 두 후보 외에 지지후보 없음(2.8%),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1.9%), 잘모르겠다(1.9%), 정의당 심상정 후보(1.5%), 새로운 물결 김동연 후보(0.1%) 순이다. 대선후보 지지도 대비 대선후보 당선 가능성은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53.7%)이 지지도(44.1%) 대비 9.6%p 높았다. 윤석열 후보의 당선 가능성(37.5%)은 지지도(35.6%) 대비 1.9%p 높았다. 안철수 후보의 당선 가능성(1.9%)은 지지도(7.7%) 대비 5.8% 낮아 대선후보 구도는 양자대결 구도로 굳어가는 양상이다.
이재명에 유리 40.5%-윤석열에 유리 31.6%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대선영향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24일 사면대상에 포함돼 31일 0시에 사면된 가운데 전 국민을 대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중 어느 후보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할 것인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역별·정당별·성향별로 차이를 보였다.
부울경은 이재명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38.6%)이 윤석열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35.3%)보다 3.3%p 높게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이재명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40.5%)이 윤석열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31.6%)보다 8.9%p 높았다. 이재명·윤석열 후보 모두 별 영향 없을 것(17.9%), 잘 모름(10.0%)가 뒤를 이었다. 이형중·권지혜기자
■조사방법 및 표본특성
이번 조사는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의 의뢰로 에이스리서치가 2021년 12월31일부터 2022년 1월1일까지 2일간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자동응답조사(ARS, 무선/가상번호 100%)를 실시했다.
2021년 1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연령·권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한 결과이며, 표본 수는 1000명(응답률 6.9%,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임). 백분율 집계의 경우 소수점 반올림 과정에서 99.9% 또는 100.1%로 나타나는 라운딩 에러(반올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