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묶는 야권 단일화는 선거 판도 자체를 뒤흔들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여도 야도 향배를 주시하고 있다. 단일화를 통과한 후보는 지지율 흡수와 컨벤션 효과를 누릴 것으로 관측된다. 중도·부동층의 표심도 함께 출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18일 현재 양쪽 모두 단일화보다는 완주를 자신하고 있다.
하지만, 안 후보의 여론조사 지지율이 계속 15%를 넘나들게 될 경우 설 연휴 전후로 양쪽 모두 단일화 테이블에 앉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단일화 작업이 정체되거나 결국 무산될 경우 양쪽을 향한 책임론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측은 윤석열·안철수 단일화 문제로 선거의 중심이 옮겨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초대 경제부총리를 지낸 새로운물결 김동연 후보를 향해 최대한 교집합을 찾으려는 분위기도 있다.
인화성이 높은 또 다른 사안으로는 이재명·윤석열 후보를 겨냥한 각종 의혹 공세가 꼽힌다. 앞으로도 후보 본인이나 가족 리스크가 잠재적 악재로 잠복해 있는 셈이다.
이 후보는 성남시장 시절 벌어진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둘러싼 법정 공방이 최근 본격화하면서 부담으로 작용하는 상황이다. 윤 후보는 배우자 김건희씨의 이른바 ‘7시간 통화’ 육성 일부가 전파를 타고 무속인의 캠프 고문 활동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곤혹스러운 모습이다.
양쪽은 논평·인터뷰·SNS 등의 물량 공세를 쏟아내며 상대를 결격 후보로 규정하는 데 화력을 집중하는 모양새다.
설 연휴를 앞둔 27일 예정된 이재명-윤석열 후보간 첫 TV토론도 유권자의 표심을 움직일 승부처로 꼽힌다. 이·윤 두 후보는 이번 첫 맞대결에서 주요 쟁점을 놓고 치열한 토론배틀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2월 초 퇴원을 앞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어떠한 메시지를 낼지도 관심사다. 박 전 대통령의 ‘등판’은 촛불 시민에게는 ‘국정농단의 기억’을 불러내는 한편으로 대구·경북(TK)을 중심으로 한 보수 진영 표심을 흔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여성가족부 폐지를 비롯해 젠더 갈등이 선거판의 또다른 이슈로 부상한 상황에서 2030과 함께 중도 부동층의 향배도 관건이라는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