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자금이 비교적 여유 있는 정당은 선거유세차량을 최대치로 확보해 가동하고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정당은 최소치로 운영하고 있으며 선거사무원 수에 있어서도 가장 많은 정당과 가장 적은 정당이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등 정당별 대조를 보이고 있다.
21일 각 대선후보 울산캠프에 따르면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15일부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7대의 선거 유세차량을 가동하고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선거연락소도 울산시 선거연락소 1곳, 중구·남구갑·남구을·동구·북구·울주군에 각각 1곳씩 운영하며 공직선거법이 허용하는 최대치인 7곳을 가동하고 있다.
반면 정의당, 국민의당, 진보당은 지원금 부족으로 선거 유세차량을 1대씩 운행하고 있으며, 대신 각 구·군마다 선거벽보를 붙인 차량을 이용해 유세전을 펼치고 있다. 선거연락소는 정의당 5곳, 국민의당 3곳, 진보당이 6곳을 운영하고 있다.
각 정당별 선거사무원 인원도 천차만별이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후보를 알리는 옷을 입고 자유롭게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선거사무원의 경우 울산시연락소는 10명 이내에서, 각 구·군 연락소는 읍·면·동 갯수 이내에서 각각 둘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진보당이 법정 최대 인원인 66명을 두고 있으며, 정의당이 36명, 국민의당이 20명을 두고 있어 선거사무원이 가장 많은 정당과 가장 적은 정당간 3배 이상의 격차를 보인다.
그러나 법적 최대인원에 포함되지 않으면서도 선거운동을 펼칠 수 있는 플러스 알파 인원도 존재해 정당간 차이는 더 크다. 플러스 알파 인원에는 선거사무원에 산입되지 않는 선거연락소장, 회계책임자, 국회의원, 지방의원, 정당유급직원, 국회의원 보좌진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도 각 후보들의 유세현장을 둘러보면 많은 선거사무원이 포진된 정당의 유세현장을 더 자주, 더 쉽게 목격할 수 있다.
한 정당 관계자는 “선거 지원금이 많은 정당의 경우 유세차량이나 선거사무원을 최대로 가동해 선거유세를 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정당의 경우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며 “최대의 유세효과를 거두기 위해 지지세력이 많은 거점공약을 위주로 울산시민들의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