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후보는 이날 공동기자회견에서 단일화를 선언하면서 “저희 두 사람이 정권교체의 민의에 부응해 함께 만들고자 하는 정부는 미래지향적이며 개혁적인 국민통합정부”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안 후보는 윤 후보가 선거에서 이길 경우 구성되는 대통령직 인수위에 참여하며 내각 구성 등 새 정부 청사진을 윤 후보와 긴밀히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정부 운영과 관련해선 윤 후보가 지난달 27일 안 후보의 결렬 선언으로 단일화 협상이 무산되기 전까지 제안했던 ‘대등한 자격의 공동 인사권’ 등이 주목된다. 당시 제안은 새 정부 조각과 청와대 주요 보직 인선 과정에서 안 후보의 인사 추천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둘 중 하나라도 반대하면 사실상 인사를 할 수 없도록 명문화해 발표하자는 것이었다.
안 후보 측은 합당을 전제로 서울·부산·인천시당위원회에서 양측 인사의 공동 위원장, 최고위원 2명 지명권, 여의도연구원장 임명 등 차기 대권에 도전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핵심 당직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양측은 합당은 일단 선거 뒤로 미룬 상태다. 큰 틀에서는 합의했다. 하지만 사실상 백기 투항한 국민의당과 ‘점령군’인 국민의힘이 합당을 실제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내 주요 보직, 당장 6·1 지방선거 공천 등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
안 후보는 국민의힘을 “더 실용적이고 중도적인 정당”으로 만드는 게 우선이라고 했지만, 대선 승리 뒤 아쉬울 게 없는 국민의힘 내 반발에 부닥칠 수도 있다.
특히 안 후보와 불편한 관계를 형성해온 이준석 대표와 화합이 가능할지 주목된다. 대등한 합당의 경우 통상 공동대표체제를 운영하지만, 공식 임기가 내년 6월까지인 이 대표가 안 후보와 순순히 권한을 나눌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만약 윤 후보가 대선에서 질 경우 혼란스러운 분위기 속 패배 책임론을 둘러싼 공방이 오가면서 합당 자체가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단일화는 후보 결정이지만 합당은 당내 절차를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