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여야, 6·1지선 재격돌 관전포인트
상태바
울산 여야, 6·1지선 재격돌 관전포인트
  • 이형중 기자
  • 승인 2022.03.1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울산지역 여야 정치권이 제20대 대통령선거가 끝나자마자 6월1일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준비체제에 들어갔다.

‘대선 올인’을 이유로 지방선거와 관련된 일정을 미뤘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곧바로 지방권력을 놓고 재격돌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이 ‘대선 승리=지선 승리’라는 승리 방정식을 이어갈지, 민주당이 대선 패배의 충격을 딛고 총력 방어에 나서 박빙의 승부를 연출해 낼지 지방 정가의 관심이 6월 지선에 쏠리고 있다. 단체장 및 광역의회 선거전략, 군소정당의 입지 등을 살펴본다.



◇‘지방선거로 재기’ ‘지방권력까지 탈환’, 여야 다시 ‘선거모드’

울산지역 여야 시당과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은 대선 결과 승리 요인과 패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선거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대선 후 3개월 내에 치러지는 이번 지방선거의 최대 관전포인트는 대선 결과와 지방선거의 상관관계, 지방권력 재편여부 등으로 요약된다.

국민의힘 윤석열 당선인은 정권 교체론을 앞세워 울산에서 54.41%의 득표율을 올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울산 득표율은 40.79%다. 국민의힘(당시 자유한국당)은 19대 대선과 비교해 울산(27.46%)에서 26.95%p나 많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당도 19대 대선(38.14%)보다 울산에서 2.65%p 높게 득표했다.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3주만에 치러지는 이번 6월 지방선거의 경우 그 성적표가 대선과 어느 정도 연동될 수밖에 없다는 관측 속에 여야 간에 엇갈린 분위기도 감지된다.

지난 2017년 대선에서 승리한 민주당은 이듬해 2018년 실시된 제7회 지방선거 울산에서 지방 행정과 의회 등 지방권력을 독식하다시피 휩쓸었다. 대선에서 패한 민주당은 2018년 압승으로 확보한 지방권력을 최대한 지켜내야 한다는 목표 아래 선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민주당 울산시당은 7회 지방선거의 ‘반타작’ 이상 결과를 목표로 한다. 특히, 당 안팎으로는 대선에서 처음으로 40%대를 돌파한 득표율을 감안해 보면, 단체장과 광역 및 기초의회 등 총 79석의 지방권력 쟁탈전에서 국민의힘과의 박빙 대결구도가 가능할 것이란 기대심리도 작용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민주당이 울산에서 2020년 총선, 2021년 재보선, 20대 대선 패배에 이어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도 기대 이상의 성적표가 나오지 않게 되면 울산 정치판에서 ‘어게인 2018’을 재연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감도 팽배하다.

대선 승리에 한껏 고무된 울산 국민의힘은 내친 김에 그 기세를 지방선거까지 이어가겠다는 태세다. 국민의힘 울산시당은 단체장 전석, 광역 및 기초의회 3분의2 이상 석권을 노린다. 울산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 절차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는데, 지방선거에서 이들 당대당 결합의 정치적 파장도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지방선거 공천작업도 속도를 낸다.

민주당 울산시당은 이번주 후보자검증위원회를 가동한다. 이달 중으로 공천관리위원회도 구성해 4월 중으로 후보자 선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민의힘에서는 대선 승리로 지방선거에 출마하려는 분위기가 더욱 확산될 조짐도 일고 있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13일 패이스북 글에서 “우리가 정권교체의 승리에 도취돼 0.73%p 신승이 가진 묵직한 의미를 잊어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더구나 바로 두 달 보름 후에는 전국 지방선거가 있다. 이 지방선거에서 압승하지 못하면 소수여당인 우리는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제대로 뒷받침할 동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이형중·권지혜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수행평가 민원 시달리던 울산 교사 숨져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