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취임하는 오는 5월10일부터 현재 국방부 자리인 용산에서 집무가 개시될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 이어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관한 대국민 프레젠테이션(PT)을 통해 “어려운 일이지만 국가의 미래를 위해 내린 결단”이라며 대통령실 이전 방침을 발표했다.
윤 당선인은 “국민들께 불편을 드리는 측면, 청와대를 온전히 국민께 개방하여 돌려드리는 측면을 고려하면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결정을 신속히 내리고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또 “5월10일 취임식을 마치고 바로 입주해 근무를 시작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애초 공약이었던 ‘광화문 시대’를 지키지 못한 이유에 대해선 “최소한의 경호 조치에 수반되는 광화문 인근 시민들의 불편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청와대 내 일부 시설의 사용 역시 불가피해 청와대를 시민들에게 완전히 돌려드리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반면 용산 집무실에 대해선 “용산 국방부와 합참 구역은 국가 안보 지휘 시설 등이 구비돼 있어 청와대를 시민들께 완벽하게 돌려드릴 수 있고 경호 조치에 수반되는 시민들의 불편도 거의 없다”고 부연했다.
또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에 수십만평 상당의 국민 공원 공간을 조속히 조성해 임기 중 국민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 집무실이 국방부 청사로 들어가면 국방부는 합참 청사로 이전하게 된다고 윤 당선인은 말했다. 옆 건물로 이전하는 것이어서 이전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합참 청사는 한미연합사의 평택 이전에 따라 남태령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언급했다.
윤 당선인은 일부 우려 여론에 대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너무 서두르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알고 있다”며 “그러나 일단 청와대 경내로 들어가면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벗어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공간의 이동이 아니라 국민을 제대로 섬기고 제대로 일하기 위한 각오와 국민과의 약속을 실천하고자 하는 저의 의지”라고 강조했다.
국방부 등 이전으로 인한 안보 공백 우려에 대해서도 “가장 빠른 시일 내 가장 효율적으로 이전을 만료, 안보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새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도 소개했다. 윤 당선인은 “용산 대통령 집무실 1층에는 프레스센터를 설치해 수시로 언론과 소통하겠다”며 “청와대 직원 수는 줄이고 민관합동위원회 사무국·회의실을 가급적 많이 만들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관저는 한남동 공관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전체 이전 비용으로는 국방부의 합참 건물 이전 118억원, 국방부 청사 리모델링 252억원, 경호처 이사 비용 99억9700만원, 한남동 공관 리모델링 25억원 등 총 496억원으로 추산했다.
한편, 기존 청와대는 국민에게 개방된다.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에도 국민 공원을 조속히 조성해 국민과 소통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