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 탈당 경력자가 공천을 신청할 경우 10%를 감점하는 페널티 규정에 대해선 “대선 승리 기여도를 평가해 달리 반영할 수 있다”는 특례규정을 두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 울산시당도 6·1지방선거와 관련,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이하 공관위)와 공직선거후보자추천재심위원회를 설치했다.
울산시당 이상헌 공천관리위에서도 여성과 청년후보자에 대해 30% 공천비율 적용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비대위원들은 22일 전체회의를 열고 지방선거 준비에 본격 시동을 걸면서 이러한 방침을 밝혔다.
23일쯤 지방선거 기획단 구성을 완료할 예정이다. 김영진 사무총장이 단장을, 조승래 전략기획위원장이 간사를 맡고, 현재 외부인사 등 인선이 진행 중이다. 기획단은 앞서 대선 과정에서 강조했던 여성·청년 천 확대 방안을 가장 핵심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송영길 전 대표는 올해 초 인적 쇄신을 발표하면서 오는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의원의 30% 이상 청년 공천을 의무화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현행 민주당 당헌·당규에는 공직선거 후보자의 30% 이상을 여성과 청년으로 추천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에서 드러난 여성·청년 표심에 화답하고 공약을 준수하는 차원에서 이번에는 30%를 강제 할당하는 방안을 찾아보겠다는 입장이다. 여성·청년 및 정치신인에 대한 가점 등 기존 방식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경선 과정에서 여성·청년 후보자의 경우는 득표율의 최대 25%를 가산하고, 정치 신인에 대해서는 최대 20%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예비후보들의 대선 기여도 평가 방안도 기획단의 논의 대상이다.
민주당은 대선 과정에서 당의 화력이 지방선거에 분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선 기여도 평가를 공천에 반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역별 득표율이나 대선 기간의 활동 실적, 각종 지침의 수행 여부 등을 평가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한편, 울산시당에 설치된 공관위는 외부인사 30%, 여성 50%, 청년 10%로 총 11명으로 이뤄졌다. 공관위는 지방선거 출마희망자 중에서 시당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를 통과한 예비후보자들을 심사하고 후보를 추천하는 공천기능을 관할한다.
울산시당은 지난 15일부터 지방선거 예비후보 모집을 공고했으며, 지난 20일까지 1차적으로 15명 정도의 신청자에 대해 심사를 실시했다. 검증위는 부적격 기준에 해당하는 7대 범죄를 집중적으로 살핀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방선거 출마희망자가 검증위의 심사를 받아야만 선거관리위원회에 예비후보자로 등록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정한 바 있다. 시당 검증위는 앞으로 1~2차례 더 회의를 열어 출마희망자 전원에 대한 부적격 여부 심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김두수·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