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오는 4일 세종시에서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대구시,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낙동강 통합 물관리 협정식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협정의 골자는 구미시 해평취수장을 이용해 대구시에 일일 30만t의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협정문에는 구미시가 제시한 조건들이 최대한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이날 협정에는 일부 반발로 경북도의 참석이 불투명해지면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은 반쪽짜리 체결 우려도 있다.
지난해 6월24일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이 의결된 뒤 지지부진하던 사업은 두 지자체의 협정 체결로 첫 단추가 끼워지게 됐다.
또 이와 연계된 반구대암각화 보존과 울산 맑은 물 확보도 탄력을 받게 됐다.
당초 정부는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 의결 후 국무총리 주재로 울산과 대구·경북 등 5개 지자체와 협정을 체결해 이행 강제성을 부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각 지자체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됨에 따라 상류와 하류 지자체로 분리해 개별 협정을 체결하는 방안으로 전환했다.
상류인 대구시와 구미시가 협정을 체결할 경우 다음 수순은 울산과 대구시의 협정 체결이다. 시는 협정이 아니더라도 대구시의 수원인 운문댐 물을 공급받는 만큼 협의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환경부 및 대구시와 운문댐에서 사연댐으로 공급할 수량을 확정하는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 겨울 가뭄으로 운문댐의 저수율 낮아진 상황을 감안하면 고산정수장을 통해 운문댐 물을 공급받고 있는 대구 수성구와 동구 등의 여론이 관건이다.
시는 대구·구미시의 사례처럼 시 차원에서 대구시를 지원하는 방안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국보인 반구대암각화의 보존을 위해 사연댐 수위를 낮추고 운문댐 물을 공급받는 만큼 대구시가 지원을 요구하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울산시는 대구와의 협의가 완료되면 추가 수원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2025 수도정비계획에서 울산의 물 부족분을 하루 12만t으로 계산한 만큼 운문댐에서 공급 받는 수량 외에 부족분을 찾겠다는 것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