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국회에 따르면 총리 후보자의 청문회 일정을 25~26일 이틀로 정했다. 이번주 상임위별로 청문회 일정 협의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1기 내각 인적구성의 과도한 쏠림에 냉랭한 시선이 없지 않은데다, 일부 인사에 대해서는 능력주의로만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신상논란으로 확산되고 있다.
현재까지 더불어민주당이 낙마를 벼르고 있는 후보자는 한동훈 법무장관 후보자와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다. 윤 대통령 당선인의 ‘픽’(pick)으로 꼽히는 인사들이다. 특히 아들·딸의 의대편입 특혜의혹이 불거진 정 후보자는 ‘조국 사태 시즌2’를 연상시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국 사태의 내로남불에 분노한 민심을 타고 공정 가치를 앞세웠던 윤 당선인이 정작 본인의 ‘40년 지기’에겐 관대한 모양새라는 것이다.
민주당이 1순위 낙마자로 꼽고 있는 인사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다.
윤 당선인의 한 후보자를 지명하자마자 대국민 선제타격이자 대국회 선전포고라며 불가론을 전면에 띄웠다.
민주당은 인사청문회를 통해 한 후보자의 채널A 사건, 고발사주 연루 의혹 등 ‘사법 리스크’를 재부각하며 총공세를 가할 방침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같은 편인 검찰이 무혐의 처분했다고 한동훈의 검언유착 의혹이 없어지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최근 드러난 서초구 아파트 전세보증금 과다 인상을 비롯한 신상 의혹들에 대해서도 송곳검증을 벼르고 있다.
민주당은 언론의 대대적 검증대에 오른 정 후보자, 한 총리 후보자도 낙마 우선순위에 올려뒀다.
특히 자녀의 의대 편입과 병역 4급 판정을 둘러싸고 의혹이 쏟아지는 정 후보자에게는 자진 사퇴 요구 등 공세 강도를 높일 예정이다.
국민의힘에서도 특혜 의혹 이슈가 더 지속되면 ‘조국 시즌2’ 프레임에 갇혀 지방선거까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당 지도부가 이같은 여론을 인수위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외대 총장을 지낸 김인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의혹도 잇따르는 분위기다. 민주당은 한 총리 후보자에 대해서는 청문회 후 당 차원의 최종 입장을 정할 계획이다.
국무총리 후보자는 본회의 표결(재적의원 과반출석·출석의원 과반찬성)을 통한 국회 인준을 거쳐야 하는 만큼 절대다수 의석을 점한 민주당의 입장이 결정적이다.
윤 당선인 측의 인사검증 부실론도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