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레미콘의 주요 원재료인 시멘트 가격이 t당 1만2000원 인상됐다. 레미콘업계는 시멘트뿐만 아니라 모래와 자갈, 유류대까지 일제히 오르면서 20% 이상의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지난해 코로나 이후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원자잿값이 폭등한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위태로워지면서 가격은 더욱 오르는 실정이다.
특히 레미콘은 원자재가 제품의 매출구성에 있어서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원자재의 조달은 레미콘 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시멘트, 모래, 자갈 등 주요 원자재 중 시멘트 가격이 지난 4월 15%가량 인상됐고 모래, 자갈 등 골재 가격도 올라 타격이 큰 상황이다.
이에 더해 레미콘은 제조 공정을 거친 후 레미콘 트럭으로 제한 시간 내 건설현장에 운송해야 하기에 유류비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통상 원가 내 운송 비용이 15~20%를 차지한다.
울산과 달리 전국 타시도의 경우 지난 5월 레미콘업계와 건설업계가 협상을 이뤄냈다. 하지만 울산의 경우 다소 늦게 레미콘 단가 인상을 시도하고 있다. 한 달 넘게 협상을 진행해오고 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중춘 울산레미콘협회 전무는 “원자재값이 20% 가까이 올라 각 건설사에 레미콘 납품가격 인상을 요청했으나, 아직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양측은 오는 16일 또 다시 협상을 진행할 계획인 가운데 만약 이날 합의점 찾지 못한다면 레미콘업계는 조업을 중단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울산지역 레미콘 업체들은 현재의 적자상태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어 시공 중인 건설업체에 단가 인상이 불가피함을 통보했고, 빠른 시일 내에 협상을 통해 원만한 합의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울산레미콘 업계의 실상을 외면한다면 부득이 조업을 중단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에 지역 내 건설사 관계자는 “연초 중대재해법 시행과 더불어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건설업 환경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며 “현재 공사현장 셧다운을 막기 위해 늘어난 공사비를 시공사가 감당하고 있는 만큼 부담이 크다”고 호소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