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민주당에 따르면 초·재선 의원들이 각자 진행한 선거 평가에서 ‘이재명 책임론’이 공개적으로 분출됐다. 연장선에서 친문계 일각에선 여세를 몰아 이 고문의 8월 전당대회 불출마를 촉구하는 내용의 연판장을 돌리는 방안도 적극 검토중이다.
수적 우위를 앞세운 압박 전술로 이 고문의 당권행을 저지하겠다는 것이다.
한 친문계 의원은 이날 “초·재선에서는 이 고문이 전대에 나오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재선 그룹 내에서는 최악의 경우 연판장을 돌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적어도 80명의 서명은 받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반이재명계 내부에서도 연판장 카드는 무리수라는 의견이 적지 않아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당권 경쟁이 계파 간 진흙탕 싸움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이 고문이 당권을 쥘 경우 연판장 서명자에 대한 공천 불이익이 가해질 것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서울의 한 의원은 “연판장은 애초 고려했던 옵션 중 하나이기는 하지만 당장 이렇게 하자고 결의된 부분은 아니다”라며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도 적지 않아 고민 중”이라고 했다.
범친문계의 파상공세에 정면 대응을 자제해 온 친이재명계의 불만도 서서히 임계치에 다다르는 분위기다.
이재명계 핵심 인사는 비이재명계를 향해 “지방선거에서도 이재명이 나서니 그 정도라도 한 것이다. 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그런 주장은 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그는 이 고문의 2선 후퇴론에 대해서도 “누구를 콕 찍어 당 대표에 나오지 말라고 하는 것이 민주적 정당에서 가능한 이야기냐. 당원과 지지자 대부분은 이재명만이 당을 혁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혁신하지 말자는 것이냐”고 했다.
친이재명계는 세대교체론을 등에 업은 당내 ‘97(90년대 학번·70년대생) 그룹’에 대해서도 사실상 범친문계 대리인 아니냐는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97그룹 주자들이 대거 포진된 재선 의원들은 이날 비공개 모임을 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한편,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상임고문단 등 야권 원로들을 만나 민주당 혁신 방안에 대한 조언을 들었다. 이날 간담회에선 권노갑 김원기 문희상 박병석 이용희 이용득 정동영 상임고문 등이 참석했다. 상임고문들은 민주당이 계파 논리에 매몰돼 갈등과 분열을 거듭하며 대선과 지방선거 연패를 하게 된 것이라며 앞으로는 통합의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