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인단 비중을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25%, 일반당원 5%’로 변경했다. 기존보다 대의원 투표 비중을 15%p 줄이는 대신 국민 여론조사 비중을 그만큼 늘린 것이다.
안규백 전당대회준비위위원장은 이날 회의 후 브리핑에서 “(오늘) 전체회의결과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따라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은 분리 선출된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선거인단 구성과 관련해선 대의원 비중을 현행 45%에서 30%로 낮추고, 국민 여론조사 비중을 10%에서 25%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선거권과 피선거권은 예전대로 12개월 이내에 6회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에게 부여하기로 했다. 권리행사 시행일은 앞서 의결한 대로 올해 7월1일”이라고 했다.
안 위원장은 또 “당 대표 경선 흥행을 위해 예비경선 당선인 수를 후보자가 4인 이상일 경우 3인, 9인 이상일 때는 8인으로 정했다. 예비경선 투표시 당 대표는 1인 1표, 최고위원은 1인 2표를 적용하며, 득표율과 순위는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준위 간사인 조승래 의원은 ‘컷오프(예비경선) 인원을 5명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됐는데 현행 규모를 유지한 이유가 뭐냐’는 질문에 “5명 확대안은 여러 안 중의 하나였다. 시간 제약 등 여러 가지 현실성을 고려해서 컷오프 인원을 현행 3명으로 유지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전준위는 이와 함께 예비경선 선거인단의 30%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중앙위원만 예비경선 투표에 참여할 수 있었다.
안 위원장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 간의 논의가 심의든 합의든 협의든 의결이든 그것은 운영 주체자의 능력에 달렸다고 생각한다”며 최고위원 권한 강화에 회의적 입장을 나타냈다.
한편,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비대위에서 박지현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에 관한 사안을 논의했다. 당무위에 박 전 위원장의 출마를 위한 예외 조항을 안건으로 상정해 토론하도록 부의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 위원장은 “비대위원들은 박 전 원장이 소중한 민주당의 인재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불가피한 사유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이에따라 박 전 비대위원장의 차기 당권도전은 완전 무산됐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