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한국은행 등 관계 당국이 잇따라 올 가을에 물가 상승세가 정점을 지날 것이라고 예상해 그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10월에 밥상물가가 안정될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가 물가 상승의 정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한은 “올해 가을 물가 상승세 정점”…유가 하향·기저효과 기대
17일 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추 부총리는 지난 13일 ‘제45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10월 정도 가면 밥상물가, 장바구니 물가는 조금 안정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소고기, 닭고기 등에 대한 할당관세 조치로 먹거리 물가가 안정을 찾고 장마 이후 채소 작황이 좋아지면 물가 상승세가 서서히 둔화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최근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국제유가가 하락세를 보이는 것도 10월 물가 정점론의 배경이 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7월 둘째 주(10~14일)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평균 가격은 배럴당 99.4달러를 기록했다. 두바이유의 배럴당 평균 가격이 주간 기준으로 100달러 밑으로 내려간 건 지난 2월 넷째 주(21~25일) 이후 4개월여만이다.
기저효과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 기준)은 지난해 9월까지만 해도 2%대에 머물렀으나 10월부터 3%대로 치솟았다.
올해 10월부터 지난해 같은 기간에 상대적으로 높았던 물가 상승률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정부는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4분기로 갈수록 물가 상승세가 안정될 것으로 내다보는 분위기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물가 상승의 정점을 묻는 말에 “올해 3분기 말에서 4분기 초로 본다”고 답했다.
◇고환율로 수입 물가↑…외식 등 물가 전방위 확산도 변수
변수는 있다. 우선 고환율이다.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같은 수량을 사더라도 돈을 더 지급해야 하는 만큼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이달 들어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종가 기준 평균 달러당 1305.66원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4월에 1235.09원, 5월에 1268.38원, 6월에 1280.83원을 기록하는 등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율 수준이 한두 달 시차를 두고 수입 물가에 반영되면 최근 원자재 가격의 하락 효과를 상쇄시킬 수 있다.
물가 상승세가 서비스 등으로 전방위 확산하는 점도 변수다.
외식 등 개인서비스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여도는 지난 4월 1.40%p, 5월 1.57%p, 6월 1.78%p를 기록해 점점 커지는 양상이다. 이들 품목은 한번 가격이 오르면 잘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물가를 고착시킬 수 있다.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의 인상이 예고된 점, 러시아와 서방 국가 간의 지정학적 갈등 등도 물가 상승세를 키울 수 있는 요인이다.
한편, 물가 상승세가 정점을 지나더라도 당분간 과거보다는 높은 물가 상승률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권지혜기자 일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