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마진 급락, 정유사 하반기 실적 비상
상태바
정제마진 급락, 정유사 하반기 실적 비상
  • 이형중
  • 승인 2022.07.25 0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 이미지
자료 이미지

S-OIL, SK이노베이션 등 정유사들의 수익을 좌우하는 정제마진이 최근 연중 최저 수준으로 급락했다.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정유사들은 ‘역대급 실적’이란 잔칫상을 두고도 웃을 수 없는 처지가 됐다.



◇롤러코스터 탄 정제마진, 한달 새 30.49달러→2.71달러

24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2.71달러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달 21일(30.49달러)과 비교하면 27.78달러나 급락한 것이다.

한달 새 연중 최고에서 최저로 롤러코스터를 탄 듯 출렁거렸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 여파로 국제유가가 오르자 정제마진은 덩달아 상승했고, 1월 평균 6.01달러였던 정제마진은 지난달 평균 24.51달러까지 올랐다가 이달 들어 21일까지는 평균 11.36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정유사들은 원유를 수입해 정제한 뒤 이를 휘발유·경유 등으로 만들어 파는데 정제마진이란 최종 석유제품의 가격에서 원유를 포함한 원료비를 뺀 마진을 말한다.

정제마진은 정유사별로 다르지만 4~5달러를 이익의 마지노선으로 본다. 정제마진이 4~5달러 이상이면 수익, 그 이하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정제마진이 약세를 보인 것은 국제유가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지난 3월 배럴당 127.9달러까지 치솟았던 두바이유는 최근 100달러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와 브렌트유 가격도 100달러를 넘나들며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 침체 우려에 더해 신종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재유행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글로벌 석유제품 수요가 위축된 것이 국제유가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사우디 아람코가 원유를 판매할 때 국제 원유 가격에 붙이는 프리미엄인 OSP(Official Selling Price)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8월 인도분 아랍경질유(ARL) OSP는 9.3달러로 6월(4.4달러), 7월(6.5달러)보다 높아 정유사들의 원가 부담이 커졌다.



◇정유사들 “실적 잔치 끝났다”…현대오일뱅크는 IPO 철회

증권가에서는 정유업계의 실적이 정점을 통과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국내 정유사들은 올해 상반기 고유가와 정제마진 초강세 덕분에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거뒀지만, 하반기에는 이 같은 초호황을 기대하기는 어렵게 됐다. 물론 일각에서는 에너지 대란이 아직 끝나지 않았고 수급은 여전히 타이트한 상황이어서 겨울철의 계절적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 정제마진이 재차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 대해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고 진단했다.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의 대어로 꼽히던 현대오일뱅크가 최근 상장 계획을 철회한 것도 이런 부정적 전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우수한 실적에도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운 현 시장 상황에서 더는 기업공개를 추진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석현주기자·일부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