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우리 주변의 ‘우영우’들에게도 관심을
상태바
[시민기자]우리 주변의 ‘우영우’들에게도 관심을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2.07.28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포스터. ENA드라마 제공
▲ 하승연 시민기자
최근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변호사 우영우가 대형 로펌에서 동료들과 사건을 해결해 나가며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무서운 기세로 시청률이 상승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드라마의 인기와 함께 자폐스펙트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받고 어우러져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의 시선을 변화시키고, 그에 걸맞은 제도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인기는 천재적인 두뇌와 자폐스펙트럼을 동시에 가진 신입 변호사로 설정된 주인공 ‘우영우’ 덕분이다.

지난해 말 드라마 소개 문구에 ‘아스퍼거증후군, 자폐증’ 대목을 두고 성인자폐 당사자 자치 자조모임 ‘에스타스’(estas)에서 비판 성명을 낸 것과 달리 막상 드라마가 시작되고 난 이후에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을 고스란히 드러낸 진솔한 접근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자폐스펙트럼이라는 명칭을 부각하며 이 장애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돕고, 자폐인에만 국한돼있던 대중의 시각을 확장하게 하는 계기가 돼 각자의 편견을 돌아보게 하기도 했다.

여느 드라마보다 자폐스펙트럼을 상세하게 보여주며 이들을 비롯한 장애인들이 사회에서 마주하는 냉정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줬다. 자폐스펙트럼뿐만 아니라 사회에 만연한 여러 차별과 편협한 시각도 꼬집었다.

하루하루 생계를 이어가기에도 어려운 현실에서 장애를 가진 아이가 있다는 사실만으로 가슴 짓눌리며 살아가는 부모의 모습도 극히 일부일지라도 그렸다. 실제 수많은 ‘우영우’의 부모들도 홀로 남을 아이 걱정에 당신들이 세상을 떠나는 날을 가장 두려워하며 산다.

드라마의 흥행으로 ‘우영우 신드롬’이 불면서 자폐스펙트럼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보통사람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다수와 다를 뿐 틀린 것이 아닌 우리 주변에 있는 수많은 ‘우영우’가 부모 곁을 떠나도 당당히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변화가 필요하다.

하승연 시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