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붕괴된 당 지도부의 재건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는 국민의힘이 오는 5일께 상임전국위 및 전국위를 열어 비대위 체제 출범을 결정할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2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위한 상임전국위 및 전국위 소집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전국위원회 의장을 맡은 5선 중진 서병수(부산진갑) 의원은 이날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결정할 상임전국위 및 전국위 개최에 대해 “실무적으로 가능한 선에서 빠른 시간 안에서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권성동 원내대표와의 중진 의원 간담회가 끝난 직후 취재진과 만나 “날짜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 실무적으로 좀 더 검토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당규를 해석하는 문제도 있고, 비대위 체제에 대한 당헌 개정도 있고, 비대위원장도 선출을 해야 한다. 이런 여러 가지 것들이 상임전국위, 전국위 이 과정들이 상당히 복잡하게 전개가 된다”고 부연했다.
앞서 서 의원은 전날엔 “(절차를 무시하고)조급한 비대위 전환은 당헌·당규상 더 큰 논란이 있을 수 있다”며 비대위 전환에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본보 2일자 5면)
이런 가운데 비대위가 조기 전당대회 준비에 초점을 둔 관리형이냐, 아니면 당의 체질을 바꿀 혁신형이냐 등을 두고 의견이 갈리고 있다.
차기 당권 주자로 꼽히는 울산출신 김기현(남을) 전 원내대표는 이날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당의 지도체제, 리더십을 정상화시키는 게 급선무다. 이번 비대위는 조기 전당대회를 준비할 수 있는 그런 형태가 돼야 한다”고 했다.
반면, 당 혁신위 부위원장을 맡은 조해진 의원은 “새 지도부가 되는 비대위는 지금 지도부보다는 훨씬 더 유능하고 역량과 문제 해결 능력, 혁신 리더십이 있어야 된다”며 혁신형 비대위를 주장했다.
비대위 성격에 따라 인선 후보군도 엇갈린다.
‘관리형 비대위’를 전제로 정우택·정진석·조경태·주호영 등 당내 5선·중진 그룹으로 위원장 후보군이 압축되는 모양새다. 그러나 외부 인사를 수혈해 당을 혁신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전대 개최 시기도 첨예하게 입장이 엇갈리는 문제다.
비대위 출범 직후 즉각 전대 준비에 착수해 9~10월께 조기 전대를 개최하자는 입장도 있다. 김기현 의원측이 공감하는 일정이다.
그러나 이 경우 정기 국회와 일정이 겹치는 데다 현재 당헌상으로는 새 지도부의 임기가 이준석 대표의 잔여 임기인 내년 6월까지라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정기 국회와 새해 예산처리를 마무리한 다음 내년 초쯤 전대를 열어 새 지도부에 임기 2년을 보장하고 2024년 총선 공천권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일부 친윤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준석계 등은 여전히 비대위 체제 전환에 반발하고 있는 현실도 최대 난관으로 꼽히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