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조선사, 7월에도 전세계 선박 절반 ‘싹쓸이’
상태바
韓 조선사, 7월에도 전세계 선박 절반 ‘싹쓸이’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2.08.1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조선업계가 7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절반 이상을 수주하며, 3개월 연속 1위를 이어갔다. LNG 운반선의 발주가 크게 증가하며 발주 호황을 이끌었고, 고부가 선박 시장에서 두각을 보인 우리나라의 시장점유율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

9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 210만 CGT(표준선 환산톤수·70척) 중 우리나라는 전체의 55%인 116만 CGT(19척)를 수주하며, 중국 62만 CGT(35척)를 앞섰다. 중국의 시장 점유율은 30%를 기록했다.

올해 1~7월 누적 기준으로도 우리나라는 1113만CGT(204척)를 수주하며 점유율 47%를 기록, 1007만CGT(383척)를 수주한 중국의 점유율 42%를 넘어섰다. 이 기간 일본은 171만CGT(65척)를 수주하며 7%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냈다.

수주 호조에 따라 우리나라의 수주잔량도 지난해 9월 이후 11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수주잔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2850만CGT(618척) 보다 26% 증가한 3586만CGT(717척)로 집계됐다.

중국의 수주잔량은 4237만CGT이다. 전월 대비 우리나라의 수주잔량은 3% 증가했으나 중국의 수주잔량은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우리나라는 26% 증가했고 중국은 1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조선사의 이 같은 수주 랠리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발주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카타르 프로젝트 등 영향에 따라 LNG 운반선 발주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클락슨리서치 집계 결과, 1월부터 7월까지 LNG선(14만㎥이상) 발주는 총 103척으로 이는 클락슨리서치가 LNG 운반선 발주 데이터를 집계한 2000년 이후 최대치다. 지금까지 LNG 운반선이 가장 많이 발주된 것은 2011년 41척이었다.

그러나 LNG 운반선 외 대행 컨터이너선과 유조선, 벌크선 등 선박 발주는 모두 감소세를 나타냈다.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의 발주는 전년 동기 대비 70%가 감소했고, S­Max급 유조선의 발주는 전년 동기 대비 92% 줄었다. 벌크선의 발주도 82% 감소했다.

선가도 오름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61.57을 기록하며 전달보다 0.4p 올랐다. 20개월째 상승이다.

선종별로는 LNG선(14만㎥ 이상) 선가가 2억3100만달러에서 2억3600만달러로 올랐고, 초대형 유조선의 선가는 1억1750달러에서 1억1900달러로 상승했다. 6400만달러였던 벌크선 선가는 6450만달러로 올랐다.

LNG운반선 발주 성장세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럽 국가들의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급이 불확실해지면서 LNG 해상 운송 수요가 증가하는 등 글로벌 에너지 체계가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