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접경 지역의 인구를 흡수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울주군 남부권 일원 신도시 건설에 착수한다. 시는 동해선 역세권 일원과 부산·양산 접경지 개발을 동시에 추진해 울산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사업비 1억5000만원을 투입해 ‘남부권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9월 추경에서 예산이 확보되면 오는 10월께 용역에 착수해 2023년 8월 용역을 완료할 예정이다.
시는 김두겸 울산시장의 공약 이행을 위해 남부권 신도시를 조성한다.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낮은 남부권역을 집중 개발해 울산의 균형 발전을 모색한다는 전략이다.
용역은 동해선 역세권과 부산·양산 접경 지역 개발의 투 트랙으로 진행된다.
우선 시는 동해선 개통에 따라 역세권을 중심으로 성장동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덕하역과 망양역, 서생역 일원 등을 대상으로 개발을 추진한다.
이는 편리해진 교통 여건에 따라 외부로의 인구 유출을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이다. 역세권에 주거·산업·교육·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신도시를 조성해 집토끼를 단속한다는 개념이다.
시는 덕하역 일원 4만6000㎡, 망양역 일원 23만㎡, 서생역 일원 72만4000㎡가량을 대상으로 용역을 진행한다.
다만 남창역 일원은 울주군이 자체적으로 개발 용역을 진행하는 만큼 시가 추진하는 용역에서는 대상에서 제외한다. 시는 군의 용역이 완료되면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웅촌 및 온양·온산·서생 등 부산·양산 접경 지역에 대한 개발도 추진한다.
시는 국도 7호선과 31호선의 개통에 따라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주거용지를 확충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특히 웅상·정관·기장 등 울산의 접경 지역 개발에 대응, 대규모의 신도시를 건설해 인구의 추가 유출을 방지하고 유입을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용역에서는 사업 대상지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발 가용지를 분석한다. 또 주거형·산업주거 복합형 등 신도시 개발의 기본 구상도 모색한다.
시의 동해선 역세권 및 접경 지역 개발에서 넘어야 할 산은 공통적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다. 서생면을 제외하면 웅촌과 온양·온산 등 개발 가용지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있어 이를 해제하지 않고서는 원활한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이다.
시는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할 경우 환경등급 1~2등급지는 녹지로 보전하면서 3~5등급지를 중심으로 개발하거나, 1~2등급지를 개발할 경우 대체 녹지를 조성하는 방안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시는 용역을 주도하는 도시균형개발과 내에 개발제한구역 해제팀이 있고, 공조가 필요한 산업입지과 역시 하반기 조직 개편에 따라 같은 도시공간개발국에 배치된 만큼 공조가 수월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는 대략적인 사업 구상안이 도출되면 용역이 완료되기 전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선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남부권에 연접한 부산, 양산에 대응하는 신도시를 건설함으로써 접경 지역의 성장동력을 강화하고, 외부 인구 유입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