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문에 주호영 비대위 조차도 제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특히 주 비상대책위원회가 닻을 올리고 수습과 혁신 행보에 돌입했지만 자칫 인화성 높은 가처분 및 당권 투쟁 이슈 속으로 다 빨려 들어가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당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이 전 대표가 지난 10일 비대위 출범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한 지 24일로 벌써 2주째를 맞았다. 이번 사건을 맡은 서울남부지방법원은 ‘다음 주 이후 결정’을 예고하면서 자칫 결정시점이 9월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당내에서는 ‘가처분 국면’이 예상보다 길어지는 것에 적잖이 당혹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된다.
사법연수원장을 지낸 최재형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법원 내부 사정은 잘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가처분은 빨리 판단 해 주는 게 상례”라면서 “아무튼 여러 쟁점에 관련해서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검사 출신의 정미경 의원은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 “판단을 내리기 어려워서 그럴 것이다. 어떤 부분을 포인트로 맞추느냐에 따라서 결론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장외에서 고강도 여론전을 펼치고 있는 이 전 대표 측과 당내 반발이 충돌하면서 연일 파열음이 나고 있다.
더욱이 이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신군부’에 비유하고 경찰 수사 개입 의혹까지 제기한 탄원서가 전날 공개되면서 당 안팎의 파문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 전 대표에 대해 “발언 수위가 너무 과하다”고 했고, 이 전 대표와 가까웠던 정미경 전 최고위원도 “이제 그만 멈춰야 된다”고 했다.
이에 맞서 이 전 대표 측에서는 탄원서 유출과 관련한 의혹을 제기하면서 맞불을 놓고 있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재판부에 제출한 상대방의 편지를 자기들이 공개하는 것부터가 이례적인데 이걸 가지고 폭로니, 수류탄의 핀이 뽑혔다느니 등등 하는 것 자체가 후안무치한 것이다. 핸드폰 열고 오매불망 체리따봉이나 많이들 기다리시기를 바란다”고 비난했다.
이런 가운데 차기 당권을 노리는 주자들의 움직임도 본격화되면서 득실과 직결된 전대 개최 시기를 놓고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애초 전대 시기로 내년 1월말~2월초를 주장했던 주 위원장은 취재진과 만나 “전대 날짜나 비대위 지속 기간은 당에서 비대위원들이나 당원들 뜻을 모아서 결정할 문제”라며 한발 뒤로 물러난 모습이다. 이에 25일부터 1박2일 동안 열리는 연찬회에서 전대 개최 시기 등 당내 현안을 놓고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