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출자·출연 공공기관이 담당하고 있는 복지 분야 업무를 총괄하는 가칭 복지가족진흥원 설립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시는 지난달 기획재정부가 기관 간 유사 중복 기능을 일원화 또는 축소하고 과도한 수준의 복리후생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내용을 담은 새 정부 공공기관 혁신 지침에 따라 복지가족진흥원 설립을 추진한다.
시는 복지가족진흥원을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복지 서비스 분야의 컨트롤 타워로 활용해 공공 복지 서비스를 총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6일 열린 시의회 사회복지 정책 자문회의에서도 시의 사회복지 지출 확대에 따른 효율적인 운용 방안을 위해 유사 기능의 출자출연기관 기능 조정이 제기된 바 있다.
현재 시의 복지 분야 출자출연기관은 여성가족개발원과 사회서비스원이 있다. 울산연구원도 일부 연구 기능을 수행한다.
시는 여성가족개발원이 여성, 청년, 아동, 청소년, 중장년,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사회서비스원이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각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유사·중복 기능이 많다고 분석했다.
이에 시는 여성가족개발원의 목적 사업에 사회서비스원 사업을 포함시키고 역할 증대에 걸맞게 기관 명칭을 변경하기 위해 가칭 ‘복지가족진흥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에 착수한다.
조례가 개정되면 여성가족개발원과 사회서비스원은 복지가족진흥원으로 통폐합된다. 시는 두 공공기관의 기존 인력은 최대한 승계한다는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복지 사업의 기획, 발굴, 연구 개발을 통합 관리할 경우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사회복지 서비스 수요의 흐름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시민들에게 단편적이고 단순한 복지 서비스가 아닌 이용자 중심의 통합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공공의 효율성과 시민의 만족도가 모두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오는 9월6일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해 향후 통합 운영될 기관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