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재명계의 강공드라이브
친이계 서영교 최고위원은 최근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동시 탄핵’을 주장했다. 여기에 친문계 고민정 최고위원 조차도 “마지막 수단이 결국은 장관 탄핵인데 그 부분까지 문을 열어놓고 검토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최고위원 취임 일성으로 ‘장관 탄핵’이라는 초강경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일각에서는 자신을 지지한 강성 당원들을 의식한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왔다.
당 관계자는 30일 “장관 탄핵 주장은 거대 야당으로서 새 지도부가 이렇듯 강한 선명성을 갖고 있다는 엄포다. 여당의 자중지란을 틈타 정국 주도권을 선점하겠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동훈·이상민 동시탄핵은 당초 강경파 초선 김용민 의원이 7월 말부터 주장했다.
당시만 해도 8·28 전당대회를 앞둔 상황에서 당내 공감대를 얻지 못했지만 전대 결과 친명계 강경파가 최고위를 장악하면서 다시금 불씨가 되살아난 셈이다. 특히 강경파 최고위원 사이에선 또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를 겨냥한 특검 강행 주장도 잇따르고 있다.
◇장관 탄핵·김건희 특검 반발기류
당내에선 강경파의 주장에 반발하는 목소리도 점차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박홍근 원내지도부는 신중모드다. 일반 여론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수를 뒀다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 당시 불었던 여론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이원욱 의원은 3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내에서 큰 논란이 있을 것이다. 한동훈 장관 탄핵, 이런 것들은 최악의 카드다. 그런 카드를 썼을 때 한 장관을 제2의 윤석열로 키워줄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런 가운데 원내 지도부로서도 탄핵·특검 강행론에는 일단 선을 긋는 모양새다. 대신 대통령 관저 공사 수주·대통령실 사적 채용 의혹과 관련한 국정조사 추진에 일단 주력하고 있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입만 열면 오락가락 해명과 은폐로 일관하고 둘러대니 대통령실 운영이 제대로 될 리 없다. 여당은 위기를 방기할 게 아니라 지금이라도 국정조사에 협조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