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88만CGT(표준선 환산톤수·51척)로 중국이 102만CGT(35척·54%), 한국이 76만CGT(12척·41%)를 수주하며 1~2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수주량은 전월 116만CGT 대비 34% 감소했다. 하지만 이는 인도 시기와 수익성을 고려해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선을 선별 수주한 여파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누계 실적도 중국에 뒤졌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전 세계 선박 누계 발주량 2768만CGT 가운데 중국이 1235만CGT(475척·45%)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1192만CGT(216척·43%), 일본은 195만CGT(77척·7%)였다.
선종별로 보면 LNG 운반선 발주량은 전년 동기보다 3배가량 늘었지만, 컨테이너선과 유조선 등은 감소세가 이어졌다.
8월에 발주된 LNG 운반선 8척 모두 우리나라가 싹쓸이했다. 우리 조선업계는 올해 8월까지 발주된 LNG 운반선 111척 가운데 83척(75%)의 건조 계약을 따내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다.
한편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61.81p로 2009년 1월 167.11p 이후 13년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신조선가지수는 2020년 12월 이후 21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선종별로는 17만4000㎥이상 LNG 운반선이 2억3600만달러에서 2억4000만달러로 가격이 올랐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