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청약시장 침체에도 신규 물량 쏟아진다
상태바
울산 청약시장 침체에도 신규 물량 쏟아진다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2.09.1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추석 연휴 이후 연말까지 울산에서 2600가구가 넘는 신규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다.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 ‘3고(高)’ 위기로 청약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미분양만 더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9~12월 울산의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울주군 범서읍에 조성되는 신혼희망타운 835가구와 남구 신정동 402가구 등 모두 2698가구에 이른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상황이지만 고금리에 따른 금융 부담, 장기 불황 가능성 등으로 어쩔 수 없이 분양을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역내 미분양 물량은 7월 기준 788가구로 지난해 연말(397가구) 대비 두배 가량 늘어난 상황이다. 그런데 올해 초부터 연말까지 1년간 진행되는 분양물량은 1만131가구로 지난해(4731가구) 대비 114% 증가했고, 연간 입주물랑(예정포함) 역시 3856가구로 지난해(1492가구) 보다 두 배 넘게 늘었다. 이는 윤석열 정부의 행보에 공급자들이 보폭을 맞춰 물량을 푸는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역 건설사들은 부동산관련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분양일정을 미뤄왔다. 하지만 기대보다 공개된 규제 완화폭은 적었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첫 4회 연속 올리면서 분양 전까지 각 업체들이 투입해야 할 금융 비용이 대폭 확대됐다. 이 때문에 늘어난 부담을 버티지 못한 공급자들이 하반기에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추석 후 이달 말께 열릴 전망인 주거정책심의위원회에선 규제지역을 대거 해제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규제 완화는 지켜봐야 하는 사안이다. 진짜 이유는 이자다. 금리가 앞으로도 몇 차례 인상될 걸로 예상되고,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다려봤자 수익성이 더 떨어질 공산이 크니 울며 겨자 먹기로 물량을 쏟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에 따른 위축된 매수심리로 미분양 리스크가 존재해 분양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