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이날 충남 아산시 배방읍에 위치한 충남자립지원전담기관을 방문해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공간인 자립생활관을 둘러봤다.
자립준비청년들과의 간담회에서 “사실 자립준비청년들의 문제점을 잘 몰랐다”며 작년 말 대선 과정에서 운동선수인 자립준비청년을 만났던 일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이야기를 들어보니 국가가 자립준비청년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는 못하고 너무 내팽개쳤더라. 그간 방침이 18살이 되면 별 준비 없이 자립정착금이 500만원 딱 쥐여주고 ‘사회에 나가 알아서 살아라’였다. 대부분 소식이 끊겨 관리도 안 되니 사회에 정상적으로 적응할 수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내가 취임하면 하루아침에 당장 바꿀 수 없지만 자립준비청년을 잘 살펴야 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경제 여건이 어려워 긴축재정을 한다고 해도, 이런 부분에 관해 쓸 돈은 딱 써 가면서 우리 자립준비청년의 미래 준비를 위해 정부도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이 문제를 방치한 것은 아닌지 부모세대로서 부끄러웠다.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지원은 우리 미래를 위한 의무이자 배려”라며 더 과감한 지원과 기회의 평등 보장을 강조했다고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한 간담회 참석자는 “자립준비청년 사이에선 ‘자립은 정보싸움’이라는 말이 있다. 집을 구하고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됐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이밖에 적성과 맞는 민간기업의 취업연계 인턴십 프로그램 제공,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청년들 사이에서 나왔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