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담회는 수소 공급단가 인상과 관련해 수소충전소 사업자들의 고충과 애로사항 등을 수렴하고자 마련됐다. 김수종 의원, 수소충전소 사업자, 시 에너지산업과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수소충전소 사업자들은 △수소공급사 독점구조 개선 △전기세 산업용으로 전환 △근린생활시설 허가 등 수소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규제 완화 △수소차량 제조회사 지원금 지원 △시료채취 비용 지자체 부담 등 운영비 지원과 제도적 개선을 요청했다.
이들은 “울산은 타 시도에 비해 수소 판매가격이 저렴하다. 시에서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민간에서 운영하는데 현재 운영상태는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이번에 수소 공급단가를 20% 정도 인상함에 따라 충전소 운영자들은 판매가격에 대한 고심이 깊다. 시에서 운영하던지 판매가격을 올려서 적자분을 보전하던지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울산시측은 “수소충전소에 대한 수선·유지비를 시비로 지원하고 있고 적자 부분은 환경부에서 70~80% 정도 보전하고 있다”며 “환경부 지원과 상충되지 않게 시에서 지원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환경부와 협의하며 의견을 조율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현재 울산시는 수소차량이 2500대 정도 보급돼 있고 수소차 보급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다. 수소차가 내연기관차보다 운영비가 많이 든다면 소비자가 외면할 것이며, 또한 수소충전소가 적자를 이기지 못하고 폐업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시에서는 수소도시 기반을 마련하는 입장에서 수소충전소 운영비 손실 보전 방안을 고민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