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주택 인허가 물량의 약 22%는 착공에 이르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부동산R114가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국토교통부의 울산지역 연평균 주택 인허가·착공·준공 물량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인허가에서 착공 단계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약 22%의 물량이 이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울산지역 인허가 대비 착공비중이 가장 낮았다.
이후 준공 과정에 도달하는 과정까지는 인허가 물량 대비 총 20% 수준의 물량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인허가·착공·준공 연평균 물량 비교 | |||||
구분 | 인허가물량 연평균 | 착공물량 연평균 |
인허가 대비 착공 비중 |
준공물량 연평균 |
인허가 대비 준공 비중 |
전국 | 51만8294건 | 44만216건 | 85% | 42만2450건 | 82% |
서울 | 6만9627건 | 6만2857건 | 90% | 6만5235건 | 94% |
울산 | 1만892건 | 8505건 | 78% | 8760건 | 80% |
전국적으로 살펴보면 인허가에서 착공 단계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약 15%의 물량이 이탈했고, 준공 과정에 도달하는 과정까지는 인허가 물량 대비 총 18% 수준의 물량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서울처럼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우수한 지역은 인허가 물량의 94%가 실제 준공으로 이어졌다.
대전도 인허가 물량 대비 준공 물량 비중이 94%로 서울과 같았으며 이어 광주(93%), 부산(87%), 경북·경남(각 85%), 제주(82%), 충북(81%), 강원·울산(각 80%) 등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 인천(68%), 충남(73%), 경기·전북·전남(각 78%) 등은 상대적으로 이 비중이 낮았다.
특히 울산의 경우 인허가 물량 대비 착공 물량 비중이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낮은 78%에 그쳤다. 이어 인천(79%), 전북(80%), 대구(82%), 충남(83%) 등이다. 서울은 인허가 물량의 90%가 착공으로 이어졌다.
윤지해 R114 수석연구원은 “시공사의 자금 조달문제나 조합과의 갈등, 경기 여건 등에 따라 사업이 철회되거나 상당 기간 지연되는 사례가 많다”며 “시공사의 부도로 인허가 자체가 취소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