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최근 금리 인상의 영향과 기업의 대응 실태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대한상의가 이달 2~8일 국내 제조기업 307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기업이 61.2%(어려움 매우 많다 26.7%·어려움 많다 34.5%)에 달했다. 보통이라는 응답 비율은 26.1%, 어려움이 없다는 비율은 12.7%였다.
금리 인상에 따른 어려움(복수 응답)으로는 ‘이자 부담에 따른 자금 사정 악화’(67.6%)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설비투자 지연 및 축소’(29.3%), ‘소비위축에 따른 영업실적 부진’(20.7%) 등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원자잿값과 환율 급등에 따른 고비용 경제구조 속에서 이자 비용 부담까지 떠안은 기업의 위기감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며 “현재 기준금리(2.50%) 수준에서도 시중 대출금리가 5~6%를 넘어서고 있는데, 기준금리가 3.00%를 넘어서면 시중금리는 7~8% 이상이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기업들은 이런 금리 인상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인상이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38.8%로 가장 많았다. ‘내년 연말’(17.6%) 내지는 ‘2024년까지’(8.5%) 이어질 것을 전망한 기업도 적지 않았다.
또 최근 금리 상황과 관련 금융당국에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고정금리 전환 지원’(34.9%)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상환유예 연장’(23.5%), ‘금리 속도 조절’(22.1%) 등이 뒤를 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건실한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고비용 경제 상황 극복을 위한 지원방안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