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시는 20일 “울산은 규모가 작아 조직 또한 타시도에 비해 작게 운용되고 있다”면서 “울산시 집행부 공무원 정원은 1993명으로 도시 규모가 비슷한 광주(2492명), 대전(2493명)의 80% 수준이며, 조직구성 또한 그에 준하여 작게 운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도시들의 조직구성은 광주가 14국 73과, 대전 14국 70과, 울산 14국, 62과다.
시는 “울산시의회 정원은 77명으로 광주 의회 대비 96%(77명·80명), 대전 의회 대비 80%(77명·97명) 수준이며, 의회 조직구성은 전문위원실을 제외하고 광주 3과 7담당, 대전 4과 9담당, 울산 3과 7담당으로 적정 운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집행부 정원 대비 광주 3.2%(80명·2492명), 대전 3.9%(97명·2493명), 울산 3.9%(77명·1993명)이다.
그러면서 울산시는 시의회 내 인사교육팀 신설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며, 하반기 개편 시 적극 검토하도록 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또 시는 “기관의 직급별 정원은 기관운영 실정에 맞게 적절하게 운영되어야 하므로, 인력운영 여건을 고려해 직급별 적정한 배분이 되도록 단계적으로 조정토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책지원 전문인력 6명 추가 정원 책정에 대해 시는 “2023년 시에 책정되어 있는 정책지원 전문인력 6명은 지방자치법과 행정안전부 기준인력에 따라 하반기 개편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보다 나은 의회조직 운영방안 및 의정활동 지원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