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원은 이날 울산시교육청에 이같은 내용으로 서면질문 했다.
이 의원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력평가 없이는 저하된 기초학력의 정도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며, 또한 그러한 평가자료도 없는 상태에서는 학력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대책의 수립도 어렵다고 판단된다”며 울산교육청에서는 어떠한 근거자료에 기반해 학력신장 대책을 수립하고 있는 지 질의했다.
또 이 의원은 학력평가의 결과자료 없이 어떠한 방법으로 학생간 학력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지도 답변을 요구했다.
이 의원은 “학력격차의 심화는 단순히 학력신장을 위한 방법만으로는 해결이 어렵다. 잘하는 학생에게는 잘하는 학생들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그렇지 못한 학생에게는 그에 합당한 교육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교현장에서는 이들 학생들이 한 학급에 모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개별적 사항들을 고려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기초학력 저하와 학력격차 심화 등의 문제는 지역별 혹은 학교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학력평가를 통해 지역별로, 학교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학력분포를 분석하게 된다면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매우 중요한 단서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