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한국거래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월말 평균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시가총액 2430조9547억원 중 단 1%인 24조9524억원이 울산기업의 몫이었다.
반면 수도권 기업의 시가총액은 2096조452억원으로 86.2%를 차지했다. 수도권 내 지역별 시가총액 비중은 서울 43.9%, 경기도 37.6%, 인천 4.7%였다. 이에 비해 울산을 비롯한 비수도권 기업의 시가총액은 총 334조5494억원으로 전체의 13.7%에 그쳤다.
비수도권 권역별로는 제주·경남(각 1.7%), 충북(1.6%), 경북(1.5%), 대전(1.3%), 대구·울산·충남(각 1%)이 1%대였다. 부산·전남(각 0.8%), 전북(0.7%), 강원(0.5%), 광주·세종(각 0.2%)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처럼 비수도권 지역기업의 시가총액 비중이 저조한 가운데 수도권 상장사의 시가총액 비중은 2019년 85.8%, 2020년 86.5%, 2021년 85.7%로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전년대비 시가총액 증가폭은 울산이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울산기업 시가총액은 전년보다 31.7%(7조9141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대구(15.5%), 경남(8.6%), 충북(4.6%) 순이다.
김회재 의원은 “지역의 경제 활력을 위해 수도권에 집중된 대기업들의 지역 이전이 필요하다”며 “지역본사제 법안 발의를 통해 균형 발전을 이뤄내고 지역 경제성장을 위한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