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러한 기류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국민의힘 부산지역 국회의원들이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열린 부산시당과 부산시의 예산정책협의회 자리에서 나왔다. 앞서 울산출신 김기현(남을)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가 박형준 부산시장 등을 만나 울산 공동유치·또는 울산 역할론(본보 9월19일자 1·3면)에 대한 논의를 한 뒤 이를 김두겸 울산시장에게 전한 바 있다.
이날 박 시장은 부산지역 국회의원들과 비공개 회의에서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부산, 울산, 경남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데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 자리에서 정동만(부산 기장) 의원은 부울경 메가시티 정상화의 고리로 부산엑스포를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정 의원은 “부산엑스포를 활용해서 메가시티 문제를 풀어보자”고 제안했다.
정 의원의 이러한 언급은 동남권 메가시티가 무산쪽으로 급류를 타고 있는 상황에서 부산 세계박람회의 울산·경남 공동유치 또는 역할론을 통해 메가시티와 엑스포의 성공적 개최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데 방점이 찍힌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최근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경남연구원 연구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전면 백지화를 선언한데 이어 김두겸 울산시 장역시 동남권 메가시티에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 경주와 포항을 벨트화하는 ‘해오름 동맹’에 무개를 두고 있는 현실에서 부산지역 정치권의 ‘묘책’으로 풀이된다. 여기다 같은 부산출신 황보승희(중·영도) 의원 역시 메가시티 추진이 어려워지는 상황에 우려를 표한 뒤 다양한 전략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출신 서범수(울주) 국회의원의 친형인 부산출신 서병수(부산진갑) 의원은 “이명박 정부 때도 5+2광역경제권을 추진했지만 제대로 안 됐다”며 “경남이 반대하는 메가시티를 과도하게 부각시키기보다는 부울경이 함께할 수 있는 것부터 풀어나가야 한다”고 했다.
서 의원이 밝힌 ‘부울경이 함께 할 수 있는 것 부터’의 이면엔 중장기적으론 통합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단기적으론 부산 세계박람회의 부·울·경 공동 유치 또는 역할분담론이 깔려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이런 가운데 김두겸 울산시장이 금주 기자회견을 갖고 연구원의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동남권 메가시티(부울경 특별연합)틀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으로 있어 주목된다.
자연스레 기자들의 일문일답을 통해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울산 공동유치 또는 역할론에 대한 입장도 밝힐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국회에서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지원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할 당시 부산·울산·경남 의원 67명 모두 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국민의힘 이주환(부산 연제) 의원은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지원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