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창양 장관 주재로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글로벌 3강 진출을 위한 4대 전략으로 △전동화 글로벌 톱티어(선두권) 도약 △생태계 전반 유연한 전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을 제시했다.
전동차 톱티어 도약을 위해 지난해 25만4000대 수준인 국내 자동차 업계의 글로벌 전기차 생산 대수를 오는 2030년 330만대로 늘려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기준 5%에서 오는 2030년 12%로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해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반도체 분야 역량을 강화한다.
또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해 2030년까지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 등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을 양성하고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개도 육성한다.
차량용 반도체는 프로세서·센서·전력반도체 등 16대 핵심품목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세계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3.3%에서 2030년 6.6%로 확대할 계획이다.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한 전기·수소차 개발도 추진한다.
전기차는 초급속 80% 충전 기준 현재 18분인 충전 속도를 2030년 5분까지 단축하고 현재 500㎞ 수준인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 600㎞까지 확대한다. 수소차는 상용차 기준 현재 30만㎞ 수준인 내구성을 2030년 80만㎞까지 확대하고 연비도 현재 kg당 13㎞ 수준에서 2030년 17㎞까지 개선한다.
아울러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요건에 맞는 배터리를 조기 확보하고 미국 현지 자동차 생산도 앞당긴다.
내년 상반기에는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 로드맵 2.0’을 수립해 시장 진입을 제한하는 규제를 집중 개선하기로 했다.
석현주기자·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