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인 국민의힘은 감사원의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서면조사 통보를 문재인 전 대통령이 거부한 데 대해 “전직 대통령이라고 사법·감사에 성역이 있을 수는 없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이날 “문 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과 대법원장, 국정원장을 모두 다 법의 심판에 맡겼던 분이다. 전직 대통령 누구도 지엄한 대한민국 법 앞에 겸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과거 감사원이 1993년 노태우 전 대통령과 1998년 김영삼 전 대통령에게 각각 질문서를 보내 감사 결과에 활용했던 일을 거론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문 전 대통령 서면조사에 “유신 공포정치가 연상된다”고 비판한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도 날을 세웠다.
당권주자인 울산출신 김기현(남을) 의원은 페이스북에 “문 전 대통령은 지난 5년간 편협한 정당의 이념적 당리당략에 경도돼 국민의 생명은 뒤로한 채 김정은 위원장과 함께 호형호제하며 널리 북한을 이롭게 하는 데 앞장섰다. 이제 억지 변명은 그만하고 진상규명에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김 의원은 또 “적폐와 불의를 청산하는 게 정치보복이라면 그런 정치보복은 맨날 해도 된다”는 이재명 대표의 2017년 발언을 거론하며 “그때그때 자신의 유불리에 따라 다른 잣대를 내세우니 ‘내로남불’이라 하는 것”이라고 이 대표를 비판했다.
이에 대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거세게 반발했다. 감사원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하는 한편 이를 윤석열 정부의 정치 탄압과 보복 수사로 규정하고 ‘범국민적 저항운동’도 벌이기로 했다.
당 ‘윤석열정권 정치탄압대책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석열 정부가 노리는 것은 결국 문재인 전 대통령이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벌여온 그 모든 소란의 최종 종착지가 문 전 대통령임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4일 감사원 앞에서 규탄 성명서를 읽고 피켓 시위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취재진과 만나 “국민이 맡긴 권력으로 민생을 챙기는 게 아니라 야당을 탄압하고 전 정부에 정치 보복을 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정치는 국민과 역사를 두려워해야 한다. 국민 앞에 겸허해지길 바란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의원들의 모임인 ‘초금회’도 기자회견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행태를 규탄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