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윤창현 의원(국민의힘)이 은행연합회 사회공헌활동 보고서, 금융감독원 공시 실적 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9개 은행의 작년 당기 순이익 대비 사회공헌금액 비율은 -1.26~13.59% 수준이었다.
적자(7960억원) 씨티은행을 제외하고 지난해 흑자를 거둔 18개 은행 가운데 사회공헌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은행(13.59%)이었고, 최저 은행은 카카오뱅크(0.15%)였다.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은행 케이뱅크도 0.31%에 머물렀다.
제주은행 외 부산은행(12.8%), NH농협은행(12.26%), 전북은행(11.28%), 광주은행(11.09%), 대구은행(10.68%), 경남은행(10.2%) 등 주로 지방은행들의 비율이 10%를 웃돌았다.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NH농협은행이 1위였고, 이어 신한은행(6.74%)·KB국민은행(6.32%)·우리은행(6.29%)·하나은행(5.71%) 순이었다.
은행·보증기금 등 은행연합회 소속 회원기관과 은행연합회는 작년 사회공헌 사업에 모두 1조617억원을 지원했다. 지원액은 3년 연속 1조원을 웃돌았지만, 2006년 보고서 발간 이래 가장 많았던 2019년(1조1300억원)보다 적고, 2020년(1919억원)과 비교해도 약 300억원 감소했다. 2년 연속 줄어든 셈이다.
배당성향(당기이익 대비 현금배당 비율)은 SC제일은행(65%)이 가장 높았고 우리은행(55%)·경남은행(50%)·부산은행(48%)·NH농협은행(47%)·부산은행(48%)·하나은행(45%)이 뒤를 이었다.
윤창현 의원은 “최근 들어 은행과 금융지주의 이자 이익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했던 만큼 공익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