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정부는 최근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초대 위원장에 같은 TK출신 우동기 대구가톨릭대 총장을 발탁한 바 있다. 지방시대위원회는 기존 대통령소속 자문위원회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자치분권위원회를 통합한 윤석열 정부 지방관련 정책을 총괄할 기구다. TK에 편중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따라 정 전 부의장을 비롯해 3선시장 출신인 박맹우 전 사무총장, 경제전문가로 평가받는 박대동 전 의원 등 윤 정부 탄생에 기여한 울산출신 고위급 인사들에 대한 적재적소 ‘지역안배’는 당분간 요원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박근혜·이명박 정부 등 보수정부 9년동안 한국 경제의 심장부 산업수도인 울산출신 인사에 대해선 외면해 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권마다 일부 기용된 ‘실물’ 인사는 없지 않으나, 실제 지역안배 차원에서 대통령의 ‘정무적 판단’을 통해 발탁된 고위급 인사는 전무한 상황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의 ‘마지막 대변인’으로 발탁된 바 있는 된 정연국 전 대변인을 비롯한 일부 인사에 이어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복두규 인사기획 비서관 등은 대통령으로부터 직무능력을 인정받아 특별 신임에 의해 발탁된 인사로 분류된다.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각급 인사에서 ‘울산 홀대’를 하려는 것은 전혀 아니다”고 선을 긋고 “직전 정부에서 ‘알박기 인사’로 인해 윤 정부의 각종 인사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올 연말 또는 내년 상반기 쯤 울산지역 인사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