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법제사법위원회의 법제처 감사에서 이른바 ‘검수원복’(검찰 수사권 원상 복구) 시행령 개정을 놓고 여야가 정면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수원복 시행령 개정이 국회에서 통과시킨 ‘검수완박법’(검찰수사권 완전 박탈)의 입법 취지에 반하는 ‘반헌법적’ 행위라고 따져 물었고, 국민의힘은 민주당 독주로 통과시킨 검수완박법이 오히려 헌법정신에 반한다고 맞받아쳤다.
이완규 법제처장은 검수원복 시행령 개정의 문제점을 둘러싼 민주당 의원들의 질의가 이어지자, “경찰국 설치·검수원복 시행령 등이 법률에 벗어났다는 전제로 질문하고 있지만, 전혀 법률에 벗어나지 않았고 아주 적법한 것”이라며 적극 반박했다.
민주당은 정부의 검수원복 시행령 개정 과정에 법제처의 위헌적 해석이 개입돼 있다고 주장하며 포문을 열었다.
박범계 의원은 “새로운 정부는 다른 정책을 할 수 있지만 헌법과 법률을 뛰어넘는 정책을 해서는 안 된다. 검수완박법이 시행된 이후 법무부는 이완규 법제처장의 적극적인 반헌법적·위헌적 해석의 도움을 받아 소위 부패범죄, 직권남용범죄와 선거범죄를 수사개시 범위에 넣었다”고 했다.
이완규 처장이 “민주당에서 입법을 추진할 때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가진 생각은 입법자의 의사가 아니다”라고 답하자, 박 의원은 “이해가 안 된다. 그럼 국회에서 표결했는데 민주당 의원들이 의사정족수와 의결정족수를 채워서 의결하면 입법자의 의사가 아니란 것인가”라고 추궁했다.
국민의힘 역시 민주당이 검수완박법을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시킨 과정을 문제 삼으며 이 처장의 입장에 힘을 보탰다.
유상범 의원은 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가 취임 일성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를 검찰로부터 지키겠다고 선언한 영상을 보여준 뒤 “위장탈당, 회기 쪼개기, 법사위 안건조정위에서의 17일 만에 일방통과, 상정되지 않은 법안이 법사위에서 통과돼 논의되지 않은 수정안이 본회의에 올라갔다”며 “절차 과정에서 헌법정신에 엄청나게 위배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톤을 높였다. 유 의원은 또 “실질적 법치주의는 실질적인 대화와 타협, 토론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법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뜻”이라며 “특정 그룹의 이익을 위한 법은 실질적 법치주의가 아니다”라고도 주장했다.
전주혜 의원은 “부패범죄와 경제범죄의 유형을 시행령에서 정하는 것이 적법한 내용이라는 게 법제처의 해석”이라고 가세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MBC의 이른바 ‘바이든’ 자막 방송을 두고 여야가 또 한번 충돌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