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서울·경기를 비롯한 수도권 중심의 사고 당협에 대해 당협위원장 공모에 나서기로 했다. 22대총선(2024년 4월10일)을 1년 6개월 앞두고 당협 정비를 통해 일대 수술을 예고하고 있어 당 안팎에선 벌써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 재정비는 차기 당권 경쟁은 물론 내후년 총선 공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이다. 여권 일각에선 당내 주류로 자리매김한 친윤 그룹이 주도하는 ‘반대파 솎아내기’가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마저 표출된다. 235곳 중에 당협위원장이 공석인 사고 당협은 68곳에 이른다.
◇당무감사·사고당협 정비 배경
정 비대위원장은 국정감사가 끝나는 대로 사고 당협의 당협위원장 선출을 위한 조강특위를 가동할 방침이다.
비상대책위원회의 대변인격인 김행 비대위원은 16일 사고 당협위원장 공모 및 전체 당협 당무감사와 관련, “당의 정상화·안정화를 위해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작업으로 그 일을 비대위가 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총선이 끝난 지 2년 6개월이 지났다. 그런데도 70개에 가까운 당협위원장이 공석이다. 당헌상 1년에 한 번씩 반드시 해야만 하는 당무감사를 총선 이후 실시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는 비대위가 국감 이후 ‘당협 정비’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당 일각에서 ‘당협 줄세우기’ 등의 비판이 나온데 대한 반박인 셈이다.
김 비대위원은 “당헌당규 절차대로 하겠다. 조직강화특별위원회와 당무감사위원회도 설치해야 한다. 당무 감사는 60일 전에 당협위원장에게 통고하게 돼 있다. 시간을 요하는 작업”이라고 부연했다. 김 비대위원은 당 일각에서 당협 줄세우기 등 비판이 이는 것과 관련, “비대위의 ‘제 사람 심기’ ‘줄 세우기’라는 일부 의원들의 지적은 어처구니없는 비난”이라고 했다.
◇전대 앞둔 미묘한 시점 논란
지역 당원조직을 관리하는 당협위원장이 누가 되느냐는 내년 초로 예상되는 전당대회는 물론, 2024년 4월 총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다. 연장선에서 이준석 전 대표와 가까운 이른바 비윤계 인사들에 대한 ‘찍어내기’ 또는 차기 총선을 앞두고 뿌리 조직에 친윤계 인사들을 심기 위한 정지 작업 아니냐는 의구심도 벌써 일각에서 나온다.
4선중진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 글에서 “가처분 문제가 해소되자마자 마치 평온하고 정상적인 지도부인 듯이 당협 줄 세우기에 들어간 모양새다. 현 비대위는 국정 뒷받침과 전대 준비에만 집중하고, 당 운영과 조직 전반에 대해서는 새 지도부에 맡기는 것이 상식과 정도”라고 비판했다.
나머지 주자들도 당내 조직기반 여부 등에 따라 당협 재정비가 당권 레이스에 끼칠 유불리를 놓고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