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일정 규모의 농지가 필요한데 높은 땅값과 개발행위 허가기준 및 그린벨트 규제로 부지마련이 어렵다. 또한 일종의 민간스마트팜 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는데 1만5000평의 부지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며 “스마트팜 준비자의 진입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시 차원의 지원과 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울산의 스마트팜을 청년창업 공간으로 연계, 홍보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정책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고 울산의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구매 및 활용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개발행위 허가기준 완화 등 토지규제 완화를 위해 노력하며, 가격경쟁 및 수익 문제 때문에 진입을 고민하는 예비창업자를 위해 유통 구조 개선과 공공기관 활용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훈 시의원은 “스마트팜 산업은 울산의 인구유출을 막고 새로운 성장산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스마트팜 산업이 활성화돼 울산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시의회와 울산시, 울산테크노파크 등과 협력해 방향성을 찾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