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부품업계 전동화 전환 도우려 정부와 맞손
상태바
현대자동차, 부품업계 전동화 전환 도우려 정부와 맞손
  • 이형중
  • 승인 2022.10.2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9일 경기도 화성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에서 현대차그룹, 정부 부처,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자동차연구원 등이 자동차산업 상생 및 미래차 시대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관계자들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의 전동화 전환을 위해 현대차그룹과 정부가 손을 맞잡았다.

현대차그룹은 19일 경기도 화성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자동차연구원 등과 자동차산업 상생 및 미래차 시대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동화 전환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내연기관차 부품업계가 신사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지원하는 것이 이번 협약의 골자다.

현대차그룹은 손익 지원, 유동성 지원, 경쟁력 향상 지원 등 3가지 분야에서 새로운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총 5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또 직접 거래가 없는 2·3차 협력사 5000 곳으로 지원을 확대한다.

먼저 현대차그룹은 납품대금 연동제를 확대 실시한다.

현대차그룹이 부담해야 할 1차 협력사 납품대금 인상 규모는 3조원이다. 경영환경을 고려해 4000억원도 추가로 지원된다.

아울러 납품대금 연동제 효과가 2·3차 협력사에 확산할 수 있도록 ‘상생협력 5 스타’ 제도에 납품대금 연동제 평가 항목을 추가한다. 이 제도는 부품 협력사의 상생협력 수준을 평가해 차기 연도 입찰 점수에 반영한다.

1000억원을 출연해 금리와 환율변화에 취약한 2·3차 협력사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기금도 조성한다.

현대차그룹은 유동성 지원 분야에서는 사업다각화 지원 펀드를 도입하고 다음 달부터 시행한다.

이 밖에도 2·3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납품대금 연동제 도입 지원 펀드와 대출이자 지원 펀드를 도입한다. 대출 신용보증 프로그램도 내년부터 실시한다.

현대차그룹은 부품업체의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동투자 연구개발(R&D) 기금을 마련하고 그룹과 중기부가 각각 250억원씩 출연한다.

정부와 유관기관도 상생협력에 함께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행사에서 “미래차로의 성공적인 전환과 새로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과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현대차그룹이 발표하는 방안이 바로 그 시작점”이라고 말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자동차 산업의 성공적 전동화 전환을 위해 완성차, 부품업계, 정부, 유관기관이 하나의 팀이 돼 유기적 협업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