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의 세포조직인 전국 당협위원회의 실태를 점검하고 부실한 곳의 당협위원장을 교체하는 것이 당무감사다. 울산을 비롯한 전국의 현역의원 또는 원외 인사가 맡는 당협위원장은 차기 총선 공천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전당대회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다.
비상대책위원회는 연례적으로 해 온 당무감사를 지난해 건너뛴 만큼, 올해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번주에 공석인 69곳의 당협위원장을 임명하기 위한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띄우고 나면 곧바로 당무감사위원장 인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여권 핵심부 내에서도 이런 비대위의 ‘조직 정비’ 계획에 대해 의견 교환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내에선 비대위의 당무감사 추진을 불편해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이른바 ‘징검다리’ 성격의 임시 지도부가 당무감사를 하는 게 적절하지 않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먼저 지역구 내 경쟁이 치열한 영남권 의원들 사이에서 당무감사를 탐탁지 않아 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른 한편에선 당무감사가 특정 계파를 배제하기 위한 ‘표적 감사’로 흐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부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들을 중심으로 제기됐다.
당무감사가 당내에서 예민한 사안으로 부각된 이유는 전당대회 시기와도 직결된다는 해석 때문이다.
일각에선 비대위가 당무감사 카드로 전대 시기를 늦추면서 친윤(친윤석열) 인사의 활동 반경을 넓혀주려는 의도 아니냐는 관측을 제기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