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윤 대통령이 인파 사고 재발 방지에 초점을 두고 안전 관리 문제를 챙기는 회의를 조만간 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도 국무회의에서 “조만간 관계 부처 장관 및 전문가들과 함께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를 개최할 것”이라고 전했다.
회의에는 행정안전부 등 관계 부처 장관들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해 이번 참사의 원인을 분석하고 외국 사례 등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제도 개선책을 논의할 전망이다.
특히 경찰과 지방자치단체 등이 자유롭게 모인 인파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통제할 수 있는지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크라우드 매니지먼트’(인파 관리) 관점에서 일반 국민의 반감을 사지 않으면서도 안전을 관리할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안전 분야 주무 부처들이 모두 참여하고 민간 전문가들도 함께해서 국가안전시스템 전반을 점검하는 회의체를 신설하게 되는 것”이라고 전했다.
정례화 여부에 대해선 “어떤 내용을 논의하고 결과물을 만들어낼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앞으로 상황을 지켜봐 달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사고 직후 대국민담화에서 발표한 대로 사고 수습과 후속 대책 마련을 국정 최우선 순위에 두고 나머지 일정은 뒷순위로 미뤄둔 상태다. 비상경제민생회의나 거시금융상황점검회의 등 다른 일정도 보류되거나 순연됐다. 당분간 국민 안전과 관련된 일정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광장에 설치된 ‘이태원 압사 참사’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조문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뒤 국무위원들과 함께 합동분향소를 찾아 헌화하고 묵념했다.
윤 대통령은 조문록에 “슬픔과 비통함 가눌 길이 없습니다. 다시 이런 비극을 겪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윤 대통령은 한 블록 떨어진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추모공간으로 도보로 이동해 시민들이 포스트잇에 적어 붙인 추모 메시지를 살펴봤다.
지난달 29일 밤 참사가 발생한 해밀톤 호텔 옆 골목도 다시 찾았다.
윤 대통령은 사고 다음날인 지난달 30일 이태원 사고 현장을 방문했으며, 31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조문한 바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