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주최자 없이 다중이 밀집하는 행사의 안전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다중 인파사고 안전확보 TF(태스크포스)’도 운영하기로 했다. 이번 사고 발생 당일, 사고 약 4시간 전부터 사태의 위험성을 알리는 다급한 112 신고 전화가 11건 접수됐는데도 제때 대응이 이뤄지지 않은 사실이 드러난 데 따른 것으로, 또 다시 정부가 대형 사고가 발생하고 나서야 ‘뒷북 대책’을 내놓는다는 비판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박종현 행정안전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태원 참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정책관은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추진 중에 있다.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다중 인파사고 안전확보 TF를 운영해 주최자 없이 다중이 밀집하는 행사와 축제의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박 정책관은 “또 사고 원인 조사가 끝나는 대로 112 대응체계의 혁신을 위한 종합대책도 마련하겠다. 정부는 이번 사고를 반면교사 삼아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사망자는 156명(외국인 26명), 부상자는 중상 33명 포함 총 157명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