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경찰 도움을 요청한 112 신고가 빗발쳤지만 사실상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야권이 격분하면서 정치권의 ‘정쟁 자제’ 기조도 이날부로 사라져버린 형국이다. 여당과 야당은 대정부 책임론에는 온도차이를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 등 관련 책임자의 파면을 공식 요구하며 대여 공세에 본격적으로 불을 댕겼다.
희생자 애도와 사고 수습이 우선이라며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던 로우키 행보를 접고, 강공 모드로 급전환한 것이다. 당장 지도부부터 작심한 듯 날 선 공세를 가했다. 112 녹취록은 물론 전날 외신 기자회견에서의 한덕수 국무총리의 농담성 발언, ‘추모 리본’ 논란까지 도마 위에 올렸다.
이재명 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국민들은 이 엄중한 시기에 국가는 어디에 있었는지 묻고 있다”며 “책임을 덜어내기 위해 사건을 축소, 은폐, 조작하는 것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직접 112 녹취록의 주요 내용을 읽어내려간 뒤 “결코 막을 수 없던 참사가 아니었다. 하지만 참사 직후 대통령, 총리, 장관, 시장, 구청장, 경찰서장 등 누구 하나 사죄한다고 말하지 않았다”고 날을 세웠다.
“이 장관과 윤 청장을 즉각 파면하고, 사법조치 해야 한다”(정청래 최고위원),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이라도 이 장관과 윤 청장의 거취에 대한 입장을 정하라”(고민정 최고위원) 등 이상민·윤희근 경질 요구가 지도부에서 터져 나왔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오세훈 서울시장은 아이들을 굶긴 죄도 크지만, 젊은이를 사지로 내몬 죄가 더 크다”며 오 시장까지 정조준했다.
당내에선 이번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는 물론 특검 주장도 제기됐다.
이수진(서울 동작을) 의원은 “이태원 비극은 사고가 아닌, 공권력의 외면으로 인한 희생이었다. 국회는 진상규명을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정의당은 윤 대통령에게 이 장관과 윤 청장을 즉각 파면할 것과 대국민 사과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민주당과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은 진상규명 국정조사에 협조하라”고 요구했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112 녹취록의 파장을 감안, ‘정부 책임론’에 일정 부분 수긍하며 자세를 낮췄다.
당 지도부는 ‘압사가 우려된다’는 112 신고가 다수 접수됐음에도 경찰이 제대로 된 현장 조치를 하지 않은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했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회의에서 “왜 충분한 현장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는지 그 원인은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 그리고 응당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국가애도기간이 지나면 철저한 원인 규명과 그에 상응하는 책임 추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