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지수 최하위권(전국 광역지자체)…안전정책 강화해야”
상태바
“안전지수 최하위권(전국 광역지자체)…안전정책 강화해야”
  • 이형중
  • 승인 2022.11.0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동칠 시의원
울산이 전국 광역지자체 중 안전지수가 최하위 수준에 그쳐, 교통사고·화재·생활안전·감염병 등에 대한 대처방안 강구는 물론 최근의 이태원 참사와 같은 유사사건 재발방지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동칠 울산시의원은 8일 울산시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역 안전지수가 상대평가로 보더라도 울산시는 전국 광역지자체 중에서 최하위에 해당하고 1개의 지표도 상위권에 있지 않다. 공표되는 자료인 만큼 지표 등급 관리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2021년 자치단체 분야별 안전등급 자료에 따르면 6개 안전지수는 교통사고·화재·범죄·생활안전·자살·감명병 등이다. 등급은 1~5등급으로 분류되며, 1등급일수록 안전지수가 높다. 울산은 화재 분야는 지난 5등급으로 가장 낮았다. 교통사고와 생활안전 지수도 각각 4등급에 그쳤다. 자살과 감염병도 각각 3등급이다. 범죄는 2등급이다. 전년 대비 등급 상승수는 한개도 없다.

화재 분야의 경우 특광역시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생활안전 분야도 세종시를 제외하면 가장 낮은 등급이다. 교통사고도 광주시에 이어 4등급에 머물렀다.

김동칠 의원은 지역안전관리계획을 매년 수립하고 안전을 관리하고 있는데 2022년 7월 안전관리계획 세부추진대책 점검에 대해 설명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지역안전관리계획에 대규모 밀집행사에 대한 대책 마련은 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안전사고는 예측하지 못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만큼 좀더 면밀하게 계획을 수립, 집행할 것을 당부했다.

권태호 의원은 이태원 참사 재발방지책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권 의원은 “지난 10월29일 이태원에서 핼러윈으로 많은 인원이 몰리면서 큰 사고가 발생했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크리스마스, 해돋이 등 각종 행사가 예정되어 있어 염려되는 부분이 많다. 주최측이 있는 행사도 있겠지만 주최측이 없는 행사에도 많은 인원이 모일 수 있으므로 이태원과 같은 유사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울산시의 안전대책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권 의원은 “실외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많은 인원이 몰리다보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안전관리에 철저를 기해줄 것”을 조언했다. 이형중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