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 의원은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을 상대로 한 질의에서 “울산 하면 생각나는 것이 산업도시인데 그만큼 지난 60년간 국가경제에 이바지 해왔다. 단적인 예로 지난 2021년 울산(113만)이 국세를 12조9000억원 납부, 인구가 비슷한 광주(143만) 4조6000억원, 대전(145만) 6조3000억원에 비해 2배 이상을 납부했으나 올해 국가에서 지원받은 국비는 울산이 1조7000억원으로 광주 2조9000억원, 대전 2조7000억원에 비해 많이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울산, 광주, 대전의 보통교부세 현황을 보면 울산이 광주와 대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울산이 이처럼 국가에 기여하는 것은 광주, 대전의 2배 이상이 되는데도 국가의 지원은 절반 밖에 안되는 지금의 차별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추 경제부총리는 “갈수록 지방이 어려워지는 현실이 안타깝다, 울산이 최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에 대해 지혜를 모으고 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취지의 답변을 했다고 서 의원실은 전했다.
서 의원은 “어려운 울산을 위해 정부가 국가예산 지원을 늘여야 하며, 특히 60여년이 지나 노후화되고 있는 울산국가산단 지하배관의 안전관리를 위한 통합안전관리센터 예산 57억원을 반영, 영남권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110억원 반영 등을 적극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서 의원은 경부고속도로 울산선의 통행료 무료화와 관련해서도 울산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과하게 요금부담을 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통행료 감경이 절실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