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석 전 대표의 ‘가처분 리스크’가 마무리되며 정진석 비대위가 안정을 찾아가는가 싶더니, 최근 ‘이태원 압사 참사’를 계기로 다시금 삐걱거림이 감지되고 있다.
특히 이태원 참사와 관련, 정진석 비대위 지도부는 ‘선 수습, 후 책임’이라는 정부 기조에 보조를 맞추고 있다. 하지만 비주류 당권주자로 여겨지는 안철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등이 선봉에 서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자진 사퇴 혹은 경질을 꾸준히 주장해오고 있다.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 기간 MBC 출입기자들에 대한 전용기 탑승 배제 논란이 불거지자 그동안 잠잠한 듯했던 이준석 전 대표도 가세했다. 그는 SNS에 “‘자유’라는 두 글자가 가진 간결함과 무거움, 그리고 어려움”이라고 썼다. 이는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강조해온 윤석열 대통령을 직격한 것으로 관측된다.
유 전 의원도 유사한 톤으로 비판에 나섰다. 윤 대통령뿐 아니라 현 여권 주류에 ‘앙금’이 깊은 유 전 의원과 이 전 대표가 목소리를 키우는 형국이 되자, 친윤계가 반격에 나섰다.
친윤계 맏형 격인 권성동 의원은 지난 9일 당원 행사에서 “누가 당 대표가 되든 대통령 영향력과 비교하면 1000분의 1밖에 안 된다. 우리는 윤 정부가 성공하도록 뒷받침을 잘해야 한다”며 비주류 당권 주자들을 압박했다.
친윤계는 급기야 지난 8일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운영위원장인 주호영 원내대표가 ‘필담 논란’을 빚은 대통령실 수석 2명을 퇴장시킨 것을 두고 발끈하면서 주 원내대표를 공개 비판하고 나섰다.
친윤계 핵심으로 불리는 장제원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취재진에게 “의원들이 부글부글하고 있다”고 했다.
대선 당시 윤 대통령의 수행실장을 지낸 이용 의원도 의원총회에서 “운영위에서 강승규·김은혜 수석을 왜 퇴장시키나”라며 주 원내대표에게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이 장관 책임론에 대해서도 “여당이 윤석열 정부 뒷받침도 못 하고 장관도 지켜주지 못하느냐”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친윤·비윤계간 파열음의 배경으로 차기 당권경쟁을 앞둔 계파간 주도권 잡기가 거론된다.
이에 주 원내대표는 자신에 대한 친윤계의 비판에 “자세한 사정을 장 의원과 이 의원이 제대로 공유받지 못한 것 같다”고 설명하며 진화를 시도하고 나섰다. 주 원내대표는 또 오는 14일 당내 4선 의원 회동을 시작으로 선수별 간담회를 계획 중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정기국회도 아직 한창이고, 내년 전당대회도 준비해야 하는 마당에 누가 세력을 결집하고 갈등을 조장하는지를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 이 시기에 집안싸움은 공멸일 뿐”이라고 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