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여권 소식통에 따르면 이태원 압사 참사를 수습하고 집권 2년차 개혁 드라이브를 통해 국정 동력을 높일 최적의 쇄신 시점을 고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현재로선 내년 1월20~24일 설 연휴와 맞물려 있는 1월 중하순이 타이밍으로 거론된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신년 개각과 관련, “언론에 설명할 내용이 아직 전무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내년도 예산안과 법안 등 시급한 현안에 집중해야 할 때이지, 발화성이 큰 개각 이슈를 섣불리 언급할 시점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윤석열 2기 내각 진용을 짜는 논의에 서서히 탄력이 붙는 분위기다. 임기 첫해 확립한 국정운영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며 과감한 개혁과제 이행에 나서야 할 때라는 점에서다.
개각 시점은 설 연휴 이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달 21일 기획재정부를 시작으로 1월 말까지 한 달여간 진행되는 신년 업무보고 일정까지 고려한 분석이다. 업무보고에는 18개 부와 4개 처, 4개 위원회, 국세청 등 청 단위 일부 기관이 참여한다. 윤 대통령의 릴레이 정상외교 일정과 설 연휴 등을 고려하면 업무보고 일정이 빠듯한 가운데 개각은 업무보고가 어느 정도 마무리된 이후에야 가능할 것이라는 게 대통령실 안팎의 대체적인 예상이다. 지난 가을부터 진행된 현직 장·차관들에 대한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복무평가 결과와 신년 업무보고 내용이 인적개편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태원 참사’ 책임 문제와 관련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거취가 가장 주목받는 가운데 용산 및 여의도 정가에선 2~3개 부처 장관이 개각 대상이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인사 검증도 개각 시기를 좌우할 중요 변수로 꼽힌다. 대통령실은 최근 윤 대통령 지지율 상승세에 힘입어 국정운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런 와중에 인사청문회 정국이 본격화한다면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윤 대통령이 조만간 나올 ‘이태원 참사’에 대한 경찰 중간수사 결과 발표, 1월7일 이후로 예상되는 국회 국정조사 결과 등을 살펴보며 개각의 폭과 시기를 조정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