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정진석 비대위 체제에서 ‘속전속결’로 이뤄진 룰 개정은 현행 ‘7대3(당원투표 70%·일반 국민 여론조사 30%)’인 대표 선출 규정을 변경, 당원투표 비율을 100%로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개정된 룰 가운데는 당 대표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최다 득표자의 득표율이 50%를 넘지 않는 경우 1·2위 득표자를 대상으로 다시 투표하는 ‘결선 투표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결선투표는 집권여당의 당대표 선출방식에서 전례가 없다. 만일 결선투표가 이뤄진다면 막판 여론의 ‘흥행몰이’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집권당이 차기 당대표 선출을 목전에 두고 중요한 ‘룰’을 바꾼 배경엔 여권 핵심부의 ‘시그널’ 없이 가능하겠느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차기 당대표 2년 임기중 치러지는 2024년 4월 총선은 여야가 과반의석 확보를 놓고 한치도 물러설 수 없는 ‘적벽대전’과도 같다.
19일 현재 당권주자로는 울산출신 4선 김기현(남을)의원을 비롯해 부산출신 5선 조경태 의원, 수도권 출신 3선 안철수 의원, 4선 윤상현·권성동의원, 원외주자로 나경원·유승민 전 의원 등 7~8명이 초반부터 격돌을 예고하고 있다.
◇‘당심 100%’결정·변수는 없나= 당 지도부는 20일 상임전국위, 23일 전국위원회와 상임전국위원회 등 3차례 회의를 잇달아 소집해 이번 주 안에 전대 룰 변경을 위한 당헌 개정 작업을 완료한다. 내년 1월초 후보 등록을 받는 등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당권 레이스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비윤(비윤석열)계 등 당 일각에선 ‘윤심’(윤 대통령의 의중)이 담긴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당내 갈등이 점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당 안팎에선 벌써부터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완전히 배제하는 방식의 당 대표 선출 규정으로 당이 민심과 동떨어질 것이란 우려와 함께 사실상 친윤(친윤석열)계 대표 선출을 위한 룰개정이 아니냐는 지적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룰 개정초반부터 당심이 요동치면서 역풍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많다. 예상을 뒤엎을 ‘변수’가 의외로 많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여권 핵심부의 시그널’시점과 3대조건= 여권 핵심부가 차기 당권주자 가운데 최대 공약수를 뽑기 위해선 반드시 ‘조건’이 따라붙게 마련이다.2024년 4월 총선 필승카드(과반확보)에서부터 ‘당대관계’(당과 대통령실), 차기 권력지형과 관련된 안전성 담보와 함께 예측가능성이다. 특히 총선 과반확보를 위한 특단의 카드는 역시 대중성과 국민여론이다. 당대관계는 국정운영의 정책적 차원의 ‘원팀’은 기초적인 것이다. 하지만 총선 공천 로드맵과 전국의 전략지별 적재적소 후보군 배치와 관련된 신뢰구축이 최대 관건이다. 집권당이 역대 총선마다 공천권을 놓고 당과 집권부와의 파열음은 한두번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차기 권력지형은 2024년 총선에서 당선된 22대 국회(2024년 5월~2028년 5월)임기중 의원들이 차기 대선후보 선출(2027년 후반기)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는 점도 빼놓울 수 없다. 여기다 여권 핵심부의 ‘시그널=당선’이라는 등식이 성립돼야 한다. 때문에 집권부의 물밑 시그널 시점은 당대표 후보 등록직후 2월 중순에서부터 2월 하순께 ‘컷오프 전후’가 유력하게 점쳐진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