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당시 청와대의 입김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당시 청와대 참모들을 불러 조사하는 방안도 감사원 내에서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정치권에 따르면 감사원은 이번 감사 대상 기관인 통계청, 국토교통부, 한국부동산원의 통계 담당 직원 PC에 전자감식(디지털 포렌식)을 진행해 이메일, 메신저 기록 등을 복원했다. 감사원은 이들 기관이 주요 통계를 집계해 발표하는 과정에서 청와대 사전보고 및 수정요구가 있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국토부 산하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값 동향조사에서 표본을 의도적으로 치우치게 추출하거나 조사원이 조사 숫자를 임의 입력하는 등 고의적 왜곡이 일어난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집값 통계는 당시에도 논란이 됐다. 2020년 김현미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 “문재인 정부 들어 집값이 감정원 통계로 11% 정도 올랐다고 알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당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문재인 전 대통령 취임 이후 3년간 서울 전체 주택 가격은 34% 올랐으며 이중 아파트값 상승률은 52%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2018년 8월 황수경 당시 통계청장이 취임 13개월 만에 갑작스럽게 교체되는 과정도 주목되는 지점이다.
2018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에서는 1분위(하위 20%) 소득이 전년 동기대비 8.0% 감소하고, 분배지표인 전국가구 기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95배로 2003년 조사 시작 후 소득격차가 가장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가 ‘소득주도성장’을 추진하고도 빈곤층 소득은 더 줄고 분배 격차도 커졌다는 비판이 나왔다.
그러자 문 전 대통령은 ‘저임금 근로자의 소득이 증가했고 개인근로소득의 불평등이 개선됐다’ ‘최저임금 인상과 소득주도성장의 긍정적 효과가 90%’라고 반박했다. 강 전 청장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재직 당시 보고서가 참고자료로 활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 속에 물러난 황 전 청장은 이임식에서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통계를 만들어 정책을 바로 볼 수 있게 해야 한다’ 등 발언으로 당시 청와대 등의 개입이 있었다는 취지를 간접적으로 내비쳤다.
당시 강 청장이 취임하고 통계 조사방식을 바꾼 뒤에는 소득 5분위 배율 등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됐다. 감사원은 통계청 직원 조사에서 당시 청와대 관계자들이 가계동향조사나 보도자료와 관련해 특정 내용을 담아달라거나 빼달라고 말한 사실이 있고, 이 중 일부는 실제 자료에 반영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